노트북 CPU에 대한 고찰...
컨텐츠 정보
- 3,503 조회
- 17 댓글
- 목록
본문
그래도 i7은 i7인거 같습니다.
인터넷 하다가 우연히 본 사이트...
i7-1260p랑 i5-1340p랑 다들 비슷하거나 1340p가 우세하다고 했는데...
아래 사이트를 보니까...그래도 i7은 i7인거 같네요...
압축이나 사진 처리 속도가...더 빠릿하네요 ㅎㅎㅎㅎ
그냥 잘 몰라서 인터넷 보다가 발견한 자료요..
지금 이 시점에서 i5-1340p보다는 i7-1260p가 답인거 같습니다.
돈만 있으면 울트라 5 125H를 지르고 싶지만...현실이;;;
능력자 행님들 가성비 노트북 추천해주시면
https://nanoreview.net/en/cpu-compare/intel-core-i7-1260p-vs-intel-core-i5-1340p
관련자료
댓글 17
/ 1 페이지
tommkr님의 댓글
성능과 가성비에 대한 적절한 접점?을 노트북에서 찾아내기란 참 어려습니다. 게다가, 성능이 대폭 상승 된 만큼 발열 내구도에 더욱 취약해진 노트북의 사망율이 더 신경쓰여지는 부분도 간과 할수 없습니다.
지극히 저의 개인적인 경험입니다만, 제가 겪어본 노트북들로 내린 결론은, 성능/가성비를 따지기 이전에, 조금 비싸더라도, 발열 고장율이 비교적 적은 튼튼한 내구도를 자랑하는 특정 브랜드 파워?를 무시 할 수는 없더군요. 서론이 길어졌지만, 저의 1순위 노트북 제조사는 DELL델, 2순위는 레노보, 마지막 가장 '최악'의 노트북 브랜드는 HP입니다. 예전에 HP노트북을 싼맛에 몇번 직접 똥찍먹 해 보고 금방 고장나서 폐기처리 하는 과정을 여러번 겪고 나니, 데스크탑만 쓰게되었고, 노트북 쪽으로는 눈길이 안가지더군요. 그나마, 발열 내구도 고장에서 조금 더 여유로웠던 DELL델 노트북이 저의 탑티어 브랜드로 자리잡았습니다~만, 노트북의 고성능 고집적 설계 구조로 인한~ 고질적인 발열 고장율은 피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이런 저의 지극히 개인 적인 생각이 과연 공감이 가는지 안가는지, 이참에 다음과 같은 레미쯔 설문을 통해 조사 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각자의 현재 노트북 소장 브랜드/스펙/사용기간/발열정보
노트북 고장 경험/고장 브랜드 제조사/모델명/고장원인/사용기간/ 등등...말이쥬 ^^
요런 사용 후기 데이터만 잘 공유 된다면~
저처럼 아까운 돈을 버리면서까지 무모한 똥찍먹? 브랜드 기종을 피할 수 있을지 않을까 싶네요 ^^
반박시에 여러분의 의견이 맞습니다 ^^
세월의 흔적이 있지만, 제가 아직 까지 영구 소장?중인 노트북 입니다
지극히 저의 개인적인 경험입니다만, 제가 겪어본 노트북들로 내린 결론은, 성능/가성비를 따지기 이전에, 조금 비싸더라도, 발열 고장율이 비교적 적은 튼튼한 내구도를 자랑하는 특정 브랜드 파워?를 무시 할 수는 없더군요. 서론이 길어졌지만, 저의 1순위 노트북 제조사는 DELL델, 2순위는 레노보, 마지막 가장 '최악'의 노트북 브랜드는 HP입니다. 예전에 HP노트북을 싼맛에 몇번 직접 똥찍먹 해 보고 금방 고장나서 폐기처리 하는 과정을 여러번 겪고 나니, 데스크탑만 쓰게되었고, 노트북 쪽으로는 눈길이 안가지더군요. 그나마, 발열 내구도 고장에서 조금 더 여유로웠던 DELL델 노트북이 저의 탑티어 브랜드로 자리잡았습니다~만, 노트북의 고성능 고집적 설계 구조로 인한~ 고질적인 발열 고장율은 피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이런 저의 지극히 개인 적인 생각이 과연 공감이 가는지 안가는지, 이참에 다음과 같은 레미쯔 설문을 통해 조사 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각자의 현재 노트북 소장 브랜드/스펙/사용기간/발열정보
노트북 고장 경험/고장 브랜드 제조사/모델명/고장원인/사용기간/ 등등...말이쥬 ^^
요런 사용 후기 데이터만 잘 공유 된다면~
저처럼 아까운 돈을 버리면서까지 무모한 똥찍먹? 브랜드 기종을 피할 수 있을지 않을까 싶네요 ^^
반박시에 여러분의 의견이 맞습니다 ^^
세월의 흔적이 있지만, 제가 아직 까지 영구 소장?중인 노트북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