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를 허용해주세요.
[ 자바스크립트 활성화 방법 ]
from Mohon Aktifkan Javascript!

Win10_22H2(19045.4412)_4in1_x64_Remiz_24.05.18_WintoHDD 6.5 용한 Portable Windows 설치기

컨텐츠 정보

본문

1980년 5월 어느 초여름은 그 시기를 살아내던 어느 누구에게도 쉽지 않은 힘겨운 시기였습니다.

그리고 어느 해 ㄱㅍ 작가의 '26년'이라는 만화 작품을 보면서...

그 안의 주인공들처럼 절박하다거나 절절하지는 않았지만,

그 암울하면서도 또 어떤 다른 희망을 억지로라도 찾고 무언가에라도 매달려야 했던 그 때가 지금 이마에 맺히는 땀방울처럼 생생하게 떠올려집니다.

저는 부마 사태의 한 가운데인 부산에서 막 고1 시기를 시작하며 앞으로 우리가 발을 들여놓아야 할 사회를 눈으로, 몸으로 보고 겪고 있었거든요.

그 전 해 대통령의 시해, 그리고 군부가 전면으로 나서며 이상하게 취해진 학원가의 조치들, 전국적으로 과외, 학원 금지, TV 과외의 시작...


그 당시 학교엘 가면 아침부터 친구들은 자기들이 목격한 대학생, 시민 시위와 전경들의 진압 장면들을 다소 과장되게 떠들어댔고,

당시 이틀 정도인가는 TV에 그 시위 진압 장면, 시민과 대학생들이 스크럼을 짜고 구호를 외치던 장면

전경들이 몽둥이와 최루탄 발사기를 들고 대응하던 장면, 머리가 깨져 바닥에 뒹구는 이들...(이후 보도관제로 갑자기 사라짐!)

TV로 보이는 모습은 곧 우리가 들어가야 할 세계였습니다. 대학생으로든 군인 또는 전경으로서든!

선생님들은 '조용히 해! 공부나 해! 집에 가!' 등의 말씀을 하실 뿐이었습니다.

이제서야 그렇게밖에 할 수 없던 그 분들이 조금 이해가 되기는 합니다만!


이제 벌써 그 시절이 한참이나 지났지만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에 남아 있는...

그 두려움과 암울함을 요즘의 우리 상황에서도 느끼게 되는 건 왜일까요?

아무튼 그 시기 얼마 이후 personal computer라는 걸 배우기 시작하는 선생님들이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1990년대 중반 개인적 필요로 다루기 시작한 아래 한글과 PC 통신...

2000년 중반의 핸드폰과...

지금 또 화두가 되고 있는 ChatGPT까지...


과학기술 분야가 어디까지 이어질지 참 그 귀추가 주목됩니다.

crionics에서 ergonomics까지 언급되다 이제는 인간 자체를 위협할지도 모를 AI, ChatGPT까지...

그럼에도 한 가닥 남은 희망은 인간들은 자신을 궤멸할 정도로까지 어리석지는 않을 거라는 막연하고도 무모한 기대일 뿐입니다!

전유원이란 개인의 coming out?을 보면서 그나마 남아있던 인간에 대한 희망을 조금은 되살릴 수 있어 다행이라고 생각했었는데요.

그 이외의 잘못된 부분들은 언제나 바로잡을 수 있을까요?


자! 객쩍은 소리는 그만 하고 본론을 말해야겠지요? ^^

5월 Remiz 님의 Win1022H21045.4412)_4in1_x64 설치본을 이용한 Portable Windows 설치기를 올려드립니다!


☞ Win10_22H2(19045.4412)_4in1_x64_Remiz_24.05.18_WintoHDD 6.5 용한 Portable Windows 설치 과정 스크린샷


b71fa5688ae159dfbc0cfe8ae45a37e5_1716120251_5978.jpg

b71fa5688ae159dfbc0cfe8ae45a37e5_1716120251_6426.jpg

b71fa5688ae159dfbc0cfe8ae45a37e5_1716120251_7029.jpg

b71fa5688ae159dfbc0cfe8ae45a37e5_1716120251_7702.jpg

b71fa5688ae159dfbc0cfe8ae45a37e5_1716120251_8107.jpg

b71fa5688ae159dfbc0cfe8ae45a37e5_1716120251_8616.jpg

b71fa5688ae159dfbc0cfe8ae45a37e5_1716120251_9237.jpg

b71fa5688ae159dfbc0cfe8ae45a37e5_1716120251_9651.jpg

b71fa5688ae159dfbc0cfe8ae45a37e5_1716120252_0601.jpg

b71fa5688ae159dfbc0cfe8ae45a37e5_1716120252_1039.jpg

여기까지가 설치본을 이용한 설치 및, 부팅 후 첫 화면입니다! ^^


다음은 제가 주로 사용하는 유틸, Rocketdock, Rainmeter 설치, 그리고 backup한 rainmeter를 적용한 모습들입니다!

Windows Theme에서 'Sun and Sand Premium'으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 주로 사용하는 유틸, Rocketdock, Rainmeter 적용 모습

b71fa5688ae159dfbc0cfe8ae45a37e5_1716120474_7099.jpg

b71fa5688ae159dfbc0cfe8ae45a37e5_1716120474_9349.jpg

b71fa5688ae159dfbc0cfe8ae45a37e5_1716120475_0084.jpg

b71fa5688ae159dfbc0cfe8ae45a37e5_1716120475_0829.jpg

b71fa5688ae159dfbc0cfe8ae45a37e5_1716120475_1198.jpg

20개의 이미지가 있는데, 그 중 제가 개인적으로 마음에 드는 이미지들만 직관적으로 골라보았습니다^^

(예전에 올려드린 설치기에 사용된 테마이기도 합니다!^^)

내일을 시작하기 전, 여러분 모두 참 평안과 휴식의 시간 이어가시기를 바랍니다^^

저는 이제 씻고 간단히 허기를 달래고 내일을 위한 준비를 하고자 합니다^^

감사합니다!^^

관련자료



댓글 24

tommkr님의 댓글

오~ 따끈따끈한 신상 후기~가 올라왔군요 ^^ 잘 보았습니다..
말씀하신 1980년~~  저의 삼촌께서 예전에 '기자'가 되고 싶으셨다는데요
그때 당시의 현실과 거침없이 앞으로만 굴러가는 암울한 세상의 벽이 너무 거대해서, 어떻게 할 수 없음을 비관하시고 그 꿈을 접으셨다~고 말씀 하시더군요. 철없고 어렸었던 제가, 그때당시, 뜬금없이 삼촌으로 부터 들었던 넋두리로 부터 어렴풋이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져 봤던 것 같습니다,
'기자' '방송' '뉴스' '신문' 이란 것의 사회적 역할/도덕성/사회공헌/공명정대/올바른잣대 눈높이/이익집단/뉴스 보도의 의도/뉴스 보도 수혜자/뉴스 보도를 주무르는 돈 물주/뉴스 미디어를 장악하는 이유/예전 한국인들의 뉴스에 대한 무한? 신뢰 믿음/선동/삼인성호....

시간이 흐르고, 돌아가는 사회 현상들을 겪다보니~ 보고 싶고 듣고 싶은 것만 듣는 게 전부가 아니란 걸 뒤늦게 깨달았고,
그것의 눈을 뜬 확실한 계기가 바로, 세월호~ 이었습니다 ㅠㅠ
 
그 이후로 부터는, 뉴스 신문 보도 미디어 들이 어떤 의도와 계획된 판이 짜여지고 이를 통해서 득을 가져가는 이와 실을 가져갈 수 밖에 없는 구조가 조금씩 보이더군요, 이런 걸 깨닫고, 여태까지 눈 먼 바보로 살아온 저 자신에게 정말, 적잖이 충격이기도 했었습니다 ~  결코 보이는 게 전부가 아니다~란 것을요~~ 굳이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아도, 인생 짬밥 고수님들은 무슨 뜻 인지 아시겠지요~~~

희한하게도, 제 유튜브 알고리듬에
80년 전후 음악방송들이 뜨길래 간간히 들어보곤 합니다요 ^^
그때 당시에만 느낄 수 있었던 아련함과 아쉬움 그리움 같은 것들이
저기 깊숙하게 잊혀지고 지워졌던 그 때 당시로 돌아가듯이 상기시켜 줘서 코끝이 찡해지곤 합니다요

livinglegend님의 댓글의 댓글

이 분의 노래 제목이 '마음'이었군요^^
탈춤 노래를 듣다가 갑자기 궁금하여 찾아보았습니다. '하늘엔 별들이 흩어져 내리고'로 시작되는...
저 또한 그 당시의 음악을 들으면 마음 한 구석 아련한 기억, 추억들에 사로잡혀 하던 일, 생각을 멈추고 그 감상을 붙잡으려고 애를 씁니다.
이루지 못한 어떤 감정이고 아픔일지라도 지금의 나에게는 소중하고 애틋한 기억들이거든요^^
그, 시절엔 힘들고, 아프고, 왠 그런 제약이 많았는지?
그 시절의 우리들에게 해방구라는 게 있었다면 만화방, 롤러스케이트장이 아니었나 합니다.
용필이 헹님의 '단발머리', 또 디스코 등 팝 음악이 쉼없이 터져나왔고,
오정선 씨와 같은 가수들의 음악이 주변 레코드샵이나 버스 안 라디오 방송에서 언제나 흘러나왔더랬지요^^
거의 영화 '친구' 속 같은 상황 그대로였다고 보면 됩니다.

다만 한 가지 그 영화 속 설정 관련하여 갸우뚱거려지는 건 장동건이 맡은 역할처럼 정말 무대뽀로 그러는 친구는 없었더라는 점이지요! ^^
물론 곽경택 감독님의 영화적 재미를 위한 adaptation이었겠지만...
어디 감히 선생님께, '밖에서 내하고 만나지 마소!'라고 위협적인 언사를 보일 생각이나 했을까요?
제가 기억하는 한 드센 친구는 선생님의 지적에 교탁 앞으로 불려나가 수십분을 눈물을 흘리는 등 평소의 느낌답지 않은 순진함까지 보여주던 그런 시절이었습니다^^

그나저나 오정선, 김인순 이런 분들의 노래가 생각나네요^^
좋은 향기와 같은 노래, 추억을 되살려 준 tommkr 님께 감사드립니다^^

tommkr님의 댓글의 댓글

첨부해 드렸던 그때 그시절에 라디오 방송이 아련한 느낌과 함께 우울한 분위기까지 전해지게 되어 본의 아니게 죄송스럽네요 ㅠㅠ 이와는 정 반대의 활기차고 끊임없이 티키타카 라디오 방송이 있어서 소개해 드립니다요 ^^ 듣다보니, 이런 주거니 받거니, 1초도 쉬는 구간없이 속사포로 정겹고 자연스럽게 만담이 가능했을까 신기하기도 합니다요 ^^ 

livinglegend님의 댓글의 댓글

지금 한국 시간 오전 10:50분인데 비정상적인(?) 경로로 들어와 답글 보자마자 바로 또 답글을 씁니다.
"MBC 여성살롱... 임국희에요!"라는 경쾌하기도 하고 들뜨기도 한듯한 여성 MC의 음성 저도 기억합니다^^
그 후로 수년 전엔가 '김승현, 양희은' 두 분이 진행하시는 것 같언데...
직장 성격 상 지금 이 영상을 대놓고 듣거나 볼 수는 없지만, 순전한 기억에만 의존하여 글을 씁니다^^
이 캡처 화면에 보인 시간대라면 아마도 학교에서 1학기 기말고사를 마치고 방학 직전에 좀 들떠 있거나 당시의 사회적 분위기(5.18 직후 사회정화?)로 뒤숭숭, 내지는 경직되어 있던 우리 시절이 아니었을까 짐작합니다!
또 그 전년도까지만 해도 있다가 대청 댐 공사로 사라지고, 또 동리 사람들은 떠나야 헸던...
충북 보은(대전에서 버스로 1시간 거리, 또 내려서 산길을 오르고 내리기를 1시간 여 후 도착하는) 고향 마을, 마치 "웰컴투 동막골" 영화 속의 마을 같았던 산과 강이 있던 그 말을 가지 못한 첫해였지요!
여름이면 여름대로 겨울이면 겨울대로 늘 그 산 바람과 서늘한 눈발의 느낌들을 이젠 기억 속에서만 더듬어야 하는 아련함 속에 매년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전에는 제 첫 사랑을 만나보는 게 원이었는데, 이젠 세상 마감하기 전 그 고향 마을을 가보고 싶다는 소만이 더해졌네요^^
어떤 계기로든 좋은 기억을 소환시켜준 topmmkr 님께 감사드립니다^^

tommkr님의 댓글의 댓글

그러고 보니~ 제 평생 대청 댐 구경을 정식으로 해 본적이 단 한번도 없네요 ㅠㅠ 그때당시 맘만 먹으면 너무나 가까워서 그랬는지, 몇 번 스쳐 지나가기는 했던 것 같은데요, 지금 생각해 보니 왜 제대로 대청댐 경치를 즐기지를 못했을까? 너무 아쉽습니다요 ㅠㅠ

livinglegend님의 댓글의 댓글

눈이 좋지 못하네, 운전을 맘놓고 못하네 등의 핑계를 대고 있긴 하지만, 사실 저도 대청댐을 다 돌아보거나, 또는 가보았다 말할 정도로 잘 알고 있지도 못합니다! ㅜㅜ
그보다는 시기적으로 우리 혈족들로부터 고향을 앗아간, 다소 원망스러운 존재로 기억에 남아있을 뿐이랍니다.
언젠가 고두심 씨가 대전역부터 시작하여 투어(?) 식으로 '어부동'까지 다니며 찍은 방송 분량 얘기를 이곳에서도 했던 것 같은데,
그 분 제주도 분인데, 왜 그렇게 거기 등장하셨는지?(방송인, 연예인이 못갈 곳이 없겠지만) 특별한 인연이 있지는 않은지 궁금하기도 합니다^^
이모님과 이모부 님 가족이 그 주변의 추동이라는 상수도수질보호구역 내인가에 살고 계셔서 찾아뵈었던 것도 벌써 20여 전의 이야기네요^^
아무튼 지금 햇수로 따지면 대청 댐의 역사는 40 여년이 되었군요! ^^

tommkr님의 댓글의 댓글

예전에, 전설님께서 대전 고향 관련, 고두심님을 언급 하신 부분 기억합니다요^^  같은 지역은 아니지만, 댐 수몰 마을 관련해서, 전설의 고향에나 나올법한 슬프기도 하고 무서운 도시전설 이야기가 생각나서 첨부 드립니다.

livinglegend님의 댓글의 댓글

다른 설치 방식도 있음에도 (Windows 설치용 usb 작성법, WinNTSetyup 이용한 설치 등) Portable Windows 설치에 유독 꽂혀 이 방식을 거의 고집스럽게 시도해오고 있네요^^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marduk님의 댓글

휴가 가고 싶은 배경 이네요.
기술의 진보는 사용자의 마음을 언제나 설레게 합니다.
늘 설렌 마음으로 살아 가세요.
잘 보았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livinglegend님의 댓글의 댓글

그런 설램과 기대가 없다면 추억이야 많겠지만 과거에만 갇혀 사는 게 아닐까 힙니다^^
님께서도 늘 새로운 추억과 함께 하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livinglegend님의 댓글의 댓글

이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하오나 이 Theme은 사실 저의 주관에는 약간 위배되는(?), 엄밀히 말하면 언젠가 후기에 써먹은 테마의 재탕일 뿐이옵니다~!

livinglegend님의 댓글의 댓글

출발점, 경로 등 과정이 조금 다르지 않을까 합니다^^
예를 들면 WinNTSetup 같은 유틸을 이용하여 설치하려면 다른 윈도우가 구동되는 드라이브로 부팅하여 윈도우 실행된 상태에서 다른 HDD 또는 SSD에 윈도우 설치를 진행해야 할 것이고,
이미 포맷한 하드에 윈도우 설치를 하신다면 정상 작동 중인 컴에서 usb 플래시 드라이브에 rufus, ventoy 등 유틸을 이용하여 Windows 설치용 부팅 usb 작성 후 .... 설치하시면 됩니다^^
전체 656 / 2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