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10 21H2(19044.2846) LTSC 64비트 설치 후기
컨텐츠 정보
- 6,823 조회
- 42 댓글
- 목록
본문
13년 된 Lenovo 싱크패드 T410 노트북에
윈도우11 설치는 실패 했구요ㅠㅠ
설치중 잦은 고발열 먹통증상과 재부팅,
파란 오류 스크린 메세지가
너무나도 자주 떠서 더 이상 진행 불가 였습니다 ㅠㅠ
윈도우11 대신에,
https://remiz.co.kr/win/42408 에 있는
윈도우10 Win10 21H2(19044.2846) LTSC 64비트
2023년 4월 버전은 설치 성공 했습니다 ^^
https://remiz.co.kr/wsh/19768에 있는
64비트 전용 드라이버팩 통합 툴(23.05)을
레미쯔님 설명대로 RUFUS로 먹여서 설치 끝냈습니다요 ^^
윈도우10 버전은 10년 넘게 오래된 구형 노트북에
다행히 아무 이상증상 없이 깔끔하게 깔리네요
설치 완료 후 아무것도 안건드린 기본 스크린 샷~ 첨부 합니다
관련자료
댓글 42
livinglegend님의 댓글의 댓글
^^ 제가 포스팅한 설치기 대부분이 Portable Windows 작성이 주입니다.
그 다음으로는 Windows 설치용 부팅 usb 이용한 일반적인 HDD 환경에서의 설치. 또는 WinNtSetup 이용한 설치 등입니다.
Portable Windows의 그 범용적인 특징은 제대로 설치가 된 경우 다른 컴퓨팅 환경에서의 USB HDD 부팅 환경 선택 방법?(단축 키 ㅅㅅ은 F12, LG는 F10, 또 특정 브랜드는 F7 등 사용하고자 하는 드라이브(원 드라이브, 외장 드라이브)를 선택하는 방법만 안다면 다른 컴퓨터의 Boot Priority를 먼저 건드려 저장하지 않아도 되고, 또 네트워크 환경이나 프린터 드라이브의 설치 등만 설ㄷ정하면 내가 주로 사용하는 컴퓨팅 환경에서 하고자 하는 작업을 그대로 할 수 있다는 것이지요^^
물론 문제가 생긴 컴의 점검, 복원 등에 문제가 되는 컴의 데이터 백업 후 복구에도 활용할 수 있구요^^
Wintousb를 계속 사용하다가, 그리고 작년 초 쯤부터 WintoHDD 를 주로 사용해왔고
rufus 3.**에 Portable Windows 설치 기능은 아마도 나중에 추가된 기능이 아닐까 합니다! ^^
WIntousb보다는, WintoHDD가 안정성이 높습니다.
사용기 중에는 하도 같은 내용이라 작성할 때마다 상세 설명은 피했는데, 설치용 iso 파일, 설치할 외장 미디어 매체(외장 SSD, 케이스 13,000 원 내외, SSD 20,000원 내외) 또는 usb도 설치는 가능하나 사용은 비추! ㅅㅅ T-5 또는 T-7 같은 자체 외장 SSD(금속형 케이스 에 든 SSD), 외장 전용 케이스에 든 M2 드라이브 등이 가능한데 제 경험 상으로는 T-5, M2 드라이브 등에서의 설치가 가장 빠르고 범용 활용성이 높고, T7은 아직은 특정 컴퓨팅 환경에서 부팅 순서 지정을 해주어도 인식이 잘 안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M2는 작년에 장만한 기종인데 워낙 험하게 ? 자주? 이 설치본 저 설치본으로 작업을 하여 1차례 교환을 한 이후로 특별한 문제는 없는데...
설치시 속도, 안정성을 생각햔다면 ㅅㅅT-5, M2 드라이브 등 순으로(usb는 고사양 용량 아니라면 비추!!!)
가성비(?)를 생각한다면 외장 케이스에 든 SSD가 가장 적당할 것 같습니다^^
현재 저는 쓸데없이 Win10 Pro, Win10 NTSC, 또 Win11 등이 설치된 ㅅㅅ T-5, ㅅㅅ T-7, 그리고 WD M2 NVMe 드라이브 등을 주변에 가지고 았고 만의 하나의 경우를 대비하여 M2 외징하드와 T-7 두 가지를 가방에 챙겨가지고 다닙니다^^
그 다음으로는 Windows 설치용 부팅 usb 이용한 일반적인 HDD 환경에서의 설치. 또는 WinNtSetup 이용한 설치 등입니다.
Portable Windows의 그 범용적인 특징은 제대로 설치가 된 경우 다른 컴퓨팅 환경에서의 USB HDD 부팅 환경 선택 방법?(단축 키 ㅅㅅ은 F12, LG는 F10, 또 특정 브랜드는 F7 등 사용하고자 하는 드라이브(원 드라이브, 외장 드라이브)를 선택하는 방법만 안다면 다른 컴퓨터의 Boot Priority를 먼저 건드려 저장하지 않아도 되고, 또 네트워크 환경이나 프린터 드라이브의 설치 등만 설ㄷ정하면 내가 주로 사용하는 컴퓨팅 환경에서 하고자 하는 작업을 그대로 할 수 있다는 것이지요^^
물론 문제가 생긴 컴의 점검, 복원 등에 문제가 되는 컴의 데이터 백업 후 복구에도 활용할 수 있구요^^
Wintousb를 계속 사용하다가, 그리고 작년 초 쯤부터 WintoHDD 를 주로 사용해왔고
rufus 3.**에 Portable Windows 설치 기능은 아마도 나중에 추가된 기능이 아닐까 합니다! ^^
WIntousb보다는, WintoHDD가 안정성이 높습니다.
사용기 중에는 하도 같은 내용이라 작성할 때마다 상세 설명은 피했는데, 설치용 iso 파일, 설치할 외장 미디어 매체(외장 SSD, 케이스 13,000 원 내외, SSD 20,000원 내외) 또는 usb도 설치는 가능하나 사용은 비추! ㅅㅅ T-5 또는 T-7 같은 자체 외장 SSD(금속형 케이스 에 든 SSD), 외장 전용 케이스에 든 M2 드라이브 등이 가능한데 제 경험 상으로는 T-5, M2 드라이브 등에서의 설치가 가장 빠르고 범용 활용성이 높고, T7은 아직은 특정 컴퓨팅 환경에서 부팅 순서 지정을 해주어도 인식이 잘 안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M2는 작년에 장만한 기종인데 워낙 험하게 ? 자주? 이 설치본 저 설치본으로 작업을 하여 1차례 교환을 한 이후로 특별한 문제는 없는데...
설치시 속도, 안정성을 생각햔다면 ㅅㅅT-5, M2 드라이브 등 순으로(usb는 고사양 용량 아니라면 비추!!!)
가성비(?)를 생각한다면 외장 케이스에 든 SSD가 가장 적당할 것 같습니다^^
현재 저는 쓸데없이 Win10 Pro, Win10 NTSC, 또 Win11 등이 설치된 ㅅㅅ T-5, ㅅㅅ T-7, 그리고 WD M2 NVMe 드라이브 등을 주변에 가지고 았고 만의 하나의 경우를 대비하여 M2 외징하드와 T-7 두 가지를 가방에 챙겨가지고 다닙니다^^
tommkr님의 댓글의 댓글
본문에 상세하게 적어 놓았듯이요
https://remiz.co.kr/wsh/19768에 있는
64비트 전용 드라이버팩 통합 툴(23.05)이 알아서 이것 저것 오토파일럿 자동 모드로 설치 했겠쥬
자동 설치 될때~
설치 프로그램 이름이
'이지드라이버' by 'IT 천공'이라고 뜨더군요 ^^
혹시 별도로 드라이버 자동 설치 하시려거든, 이지 드라이버 검색 해 보시면 윈7 윈10 윈11 가릴거없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된 걸 찾으실 수 있을 겁니다요
https://remiz.co.kr/wsh/19768에 있는
64비트 전용 드라이버팩 통합 툴(23.05)이 알아서 이것 저것 오토파일럿 자동 모드로 설치 했겠쥬
자동 설치 될때~
설치 프로그램 이름이
'이지드라이버' by 'IT 천공'이라고 뜨더군요 ^^
혹시 별도로 드라이버 자동 설치 하시려거든, 이지 드라이버 검색 해 보시면 윈7 윈10 윈11 가릴거없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된 걸 찾으실 수 있을 겁니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