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를 허용해주세요.
[ 자바스크립트 활성화 방법 ]
from Mohon Aktifkan Javascript!

Win10 21H2(19044.1526) LTSC 64비트_USB 설치기

컨텐츠 정보

본문

본의 아니게(?) Win10 LTSC 버전 설치기를 올리게 되었네요^^

사용하던 시스템에서 애용하던 프로그램이 아무리 애를 써봐도 안될 때 가장 빠르고(?) 분명한 해결책은 그냥 다시 밀어버리고 설치하는 게 답일 때가 있습니다!

객쩍은 소리는 그만두고요.

매번 반복하는 일이지만, 정말 윈도우 설치하고 유틸 설치하고, 그 외에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tuning 내지는 customizing한다는 게 정말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런 중에 우리 공주님은 제가 하도 설치를 해대니까 '아빠, 우리 컴퓨터는 왜 그렇게 자주 고장나?' 하고 물어볼 정도입니다. ㅜㅜ


아무튼 Ventoy usb를 이용한 2월 Win10 LTSC 버전 설치 과정을 다음과 같이 올려봅니다! ^^


※ Win10 21H2(19044.1526) LTSC 64비트_USB 설치 과정 스크린샷 


4b44d9a52d8934b20599e8984deb7eee_1645983553_8081.jpg

4b44d9a52d8934b20599e8984deb7eee_1645983554_2661.jpg

4b44d9a52d8934b20599e8984deb7eee_1645983554_5633.jpg

4b44d9a52d8934b20599e8984deb7eee_1645983554_8804.jpg

4b44d9a52d8934b20599e8984deb7eee_1645983555_1487.jpg

4b44d9a52d8934b20599e8984deb7eee_1645983555_4609.jpg

4b44d9a52d8934b20599e8984deb7eee_1645983555_7606.jpg

4b44d9a52d8934b20599e8984deb7eee_1645983556_0937.jpg

4b44d9a52d8934b20599e8984deb7eee_1645983556_4226.jpg

4b44d9a52d8934b20599e8984deb7eee_1645983556_7902.jpg

4b44d9a52d8934b20599e8984deb7eee_1645983605_4925.jpg

4b44d9a52d8934b20599e8984deb7eee_1645983605_7887.jpg

4b44d9a52d8934b20599e8984deb7eee_1645983606_0605.jpg

4b44d9a52d8934b20599e8984deb7eee_1645983606_4113.jpg

4b44d9a52d8934b20599e8984deb7eee_1645983606_7949.jpg

4b44d9a52d8934b20599e8984deb7eee_1645983607_1544.jpg

4b44d9a52d8934b20599e8984deb7eee_1645983607_5171.jpg

4b44d9a52d8934b20599e8984deb7eee_1645983607_8741.jpg

- 아이들 개학이 이삼일 앞으로 다가왔네요!

  특정 지역에서만 학교 등의 백신 패스를 철회(?)한다는 임시방편적(?) 조치 소식이 있었습니다.

  백신 접종을 재촉하는 정부의 입장이든, 접종으로 인한 피해(부작용)를 우려하는 입장이든 코로나는 이제 막을 내리도록 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진실이란 그 끝이 아프기는 하지만 언젠가는 밝혀지는 법이더라구요! ^^

  모두들 무탈하시고, 또 코로나로부터 자유로운 그런 시간 이어가시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관련자료



댓글 33 / 1 페이지

livinglegend님의 댓글의 댓글

이 부분에 대한 제 나름의 체험 상황만을 말씀드릴께요^^ 제가 좀 보관 내지는 차후 활용을 위한 자료 저장의 욕심이 많아서요. 가급적 적은 공간에 다양한 용도의 데이터들을 모아두려고 하는 습성이 있어서요. 그러다 보니 OS 의 경우에도 한 둘의 usb에 몇 가지의 설치본을 넣어둡니다. 말씀하신 부분 얘기를 하자면 설치 초기 단계에서 디스크 설정 부분이라고 할 것 같은데요. 복원을 위한 공간(?) 이걸 남겨두지 않으려고 설치할 공간을 디스크 삭제, 할당 방식을 사용하여 100MB 지정했다가 120GB 이상(대부분의 ssd가 기본이 그 정도이니) '확장'한 후 설치 과정을 진행하는데요. 가능하면 어느 시스템에서도 설치가 가능한 상태로 두려고 하는데 최근에는 예전의 습관처럼 하던 방식으로는 안되고 '이 디스크에서는 설치할 수 없습니다.'라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더군요. 그래서 설치 도중 그 전 단계로 돌아가 작업하는 과정을 진행하면 그 과정에서 mbr 이 아닌 uefi 방식으로 기계적인 임의의 하드 디스크 분할 방식이 적용되는 것 같더라구요! 그런데 이 부분을 제기 정확히 용어를 동원하여 설명하기에는 제가 그런 지식이 좀 짧아서요ㅜㅜ 이렇게 장황하게 설명 늘어놓아 죄송! 아인슈타인 아재가 쉽게 설명할 때까지는 무언가를 완전히(제대로?) 이해한 게 아니랬는데ㅜㅜ

livinglegend님의 댓글의 댓글

그러니까 저는 오히려 뭐하니 님처럼 mbr 방식을 유지하려다 안되는 상황만이 발생한 경우네요. 결과적으로... ㅜㅜ rufus 를 이용하면 설치 usb 작성 시작할 때 mbr, uefi 방식을 설정하는 부분이 있던데 그걸 활용하면 그 구분을 분명하게 할 수 있는데, ventoy에서는 그런 부분이 없이 단지 ventoy 실행 후 iso 파일을 붙여넣기 하는 식이어서 그런 선택 과정은 눈으로 보여지질 않아서요^^

ITWOLRD님의 댓글

Ventoy usb --외장하드디스크에서 만들수 있나요...저도 컴퓨터 쪽에서 일하는데요  윈도우프로그램에서 한글+MS오피스 설치하여  Wim 이미지들어서  윈도우를 작동할려고 합니데

Ventoy usb 프로그램에서 외장하드디스크에 여러 이미지 만들어 사용할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livinglegend님의 댓글의 댓글

WIndows 설치용 usb.... 만들듯이 외장 하드 디스크를 설치용으로 제작한다는 의미는 아니신 것 같고... 내용 결과를 보면 Windows 및 프로그램이 설치된 Portable Windows를 만드신다는 의미인지 혼동되네요^^ 예, 컴퓨터 쪽 일을 하신다니 저보다 더 잘 아실 수도 있는데... 감히 조언이라고 생각지 마시고 사용자 1인의 경험담으로 들어주시길^^ Windows 설치용 부팅 디스크 작성이라면 외장 하드보다는 usb로 작성하는 게 훨씬 낫구요. Portable 윈도우(Windows OS 및 각 프로그램 설치된 말 그대로의 이동식 윈도우) 작성을 생각하신다면 외장 SSD가 훨씬 낫습니다^^ 몇 가지 기억하실 점은 꽤 오랜 기간의 경험으로 보면 제 경우 NVME M2보다는 삼성 SSD T5, T7 등의 순으로 속도 및 안정성이 높았던 것 같고, usb의 경우 256, 512 GB까지 포터블 윈도우 설치해봤으나 그 이상은 해보지 못했네요. Ventoy usb 내에 위  스샷처럼 여러 설치용 iso 파일을 복사해 넣는 식으로(Ventoy 실행 이후 탐색기 등으로 iso 파일을 해당 위치에 붙여넣기하면 됨) 담을 수는 있는데, 제가 질문 의도를 정확히 파악했는지 모르겠는데요. 혹시 Ventoy 상에서 iso 같은 이미지 작성 작업을 하는 걸 말씀하신 건 아니지요? ^^ 한 가지 더 Tip을 드리자면, Portable Windows는 WintoUSB, 또는 WintoHDD 등 여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할 수 있는데, 제 경험으로는 WintoUSB가 가장 나은 것 같구요. 또 프로그램이 통합된 iso 파일보다는 순정 상태(Windows 기본)로만 설치하는 게 실패할 확률이 낮습니다. 유틸 통합 Windows 버전을 소장 중인 것이 있어 꽤 오랜 동안 그걸 쓰면서 WIndows Update 안되는 거 사방팔방 문의해봤는데-워낙 그 설치본 구성이 마음에 들었거든요^^-아무리 해도 안되어 결국 순정 설치본으로 OS 설치 후 이후 여러 프로그램 작성 후 Update 실행해보니 되더군요^^ 너무 길어서 송구합니다. ^^ 언젠가 가능한 시간에 포터블 Windows 설치 경험담 올려드릴께요^^ 좋은 하루 보내세요^^
전체 653 / 16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