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를 허용해주세요.
[ 자바스크립트 활성화 방법 ]
from Mohon Aktifkan Javascript!

와 6월부터 해외직구 차단품목이 많이 강화되네요.

컨텐츠 정보

본문

어린이용품이라던가 화학용품 같은것은 이해가 가는데

전기생활용품들과 부품들까지 다 막히는 것 같네요.

간혹 뭔가 고장나서 부품 구해서 수리하는건 이제 끝날것 같습니다.

보조배터리나 충전기도 막히고;;

관련자료



댓글 12 / 1 페이지

leepd님의 댓글

인증기관만 돈 버는 정책이죠
과연 그 자리에 누가 가 있는지 부터
돈 흐름 전 과정을 철저히 감시 해야할듯 
위정자들의 정책엔 순수한 국민을 위함은
단 한번도 없었음

무책임기사님의 댓글

EU와 미국 안전기준을 무시 하는 KC인증 이라...
FTA자유무역협정을 어기면 어떻게 되는지 기대 됩니다...

야미님의 댓글의 댓글

우리나라 인증제도도 이 기회에 뭔가 바뀌었으면 좋겠습니다.
국민을 위한 인증제도도 좋지만 EU와 미국의 안전인증을 통과한 제품이라면 해당 인증서로 한국KC인증을 간편하고 저렴하게 내준다면 좋겠습니다.
개인통관은 당연히 외국인증을 받은 제품은 그냥 통과시켜주고 인증 안받은 제품들에 대해서만 막아야 하고요.

빈쎈리님의 댓글

충전기랑 충전 케이블 직구 가능
보조배터리는  무적에 KC딱지 없으면 직구 불가요..

무슨 KC딱지가 무적도 아니고 적당히가 없는 정부!!!!
개뿔 국민 안전 따질꺼면 우리나라 자동차 안전등급부터 해외랑 똑같이 제작할수있도록 해야지!!!!
어느나라는 동일차종 내수제품보다 안전등급 높고 안전장치 겁나게 붙여 제작수출해주면서 가격도 내수보다 싸다!!!
이게 우리나라 현실~ 급발진나도 결과적으로 해외처럼 나라에서 조사해가아닌 소비자가 직접 원인규명해야하고 제조사랑 싸워야하고!!

야미님의 댓글의 댓글

usb충전케이블은 될거 같은데 충전기는 아직 모를것 같습니다. 물론 교류전원이 아닌 직류전원장치여서 될것 같다고 예측은 하는데요
이게 정부정책이라는게  코에걸면 코걸이 귀에걸면 귀걸이라..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바꾸는 것이니 안된다고 하면 끝이라서요.

KC딱지 붙은 제품은 0%라고 보는게 맞습니다.
중국업체가 자체 제품에 KC인증을 받는 경우는 제가 알기로 배터리밖에 없습니다.
그것도 한국에 납품을 많이 하는 중국업체 몇곳만 받고 있죠.
그런데 이것도 애매한 것이 보조배터리를 얘를 들면 보조배터리 안의 배터리를 KC인증받은 배터리를 사용하였다고 해도
배터리팩이라는 보조배터리 자체를 또 KC인증을 받아야 합니다.
그리고 이 완제품의 KC인증은 중국업체에서 받을수 있는게 아니고 국내 수입사에서 받아야 합니다.

중국의 A공장에서 제작한 보조배터리를 국내의 B사가 수입하면서 KC인증을 받았는데
국내의 C업체가 해당 보조배터리를 수입하게 되면 C업체가 다시 KC인증을 받아야 합니다.
결국 똑같은 제품을 국내 5곳의 업체가 수입한다면 5곳의 업체가 모두 KC인증을 받아야 하는 웃지못할 일이 발생합니다.;;

이 인증검사도 짧게는 2주.. 길게는 1달반정도 걸리기도 하고.. 하나의 제품에 인증이 2가지씩이나 되기도 하여 비용도 많이 발생하고 참 그래요..;;
보조배터리만 해도 내부의 배터리도 인증받아야 하고 배터리를 포함한 배터리팩도 인증받아야 하고..손선풍기도 마찬가지고요..;;
전체 16,592 / 7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