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를 허용해주세요.
[ 자바스크립트 활성화 방법 ]
from Mohon Aktifkan Javascript!

학부모님들이 꼭 들으셔야 할 말...

컨텐츠 정보

본문

선생님은 학부모들의 ‘을’이 아닙니다


잠깐이지만 현직에 있는 친구로부터 들어본 이야기로는 민원을 제기하시거나 불만 또는 고충을 전화상으로 말하는 학부모님들께 정말 소리를 지르고 싶은 심정이라고 말하더군요.
'그러니까 오셔서 직접 눈으로 보시라구요!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당신의 그 귀엽고 착한 아이가 어떻게 말하고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그러나 정말 직접 그렇게 말하지는 못한다고 합니다.

물론 그렇다고 하여 학부모들이 子女들의 일탈 장면을 보러 오기보다는 하소연 내지는 부정으로 끝나는 경우는 그나마 얌전한 편이고...
꼭 문제가 생기고 나서야, 아니면 필요(?)에 의해 학교를 오시는 경우가 다반사이고...
가정에서의 밥상머리 교육이 먼저입니다.
타인을 존중하고 부모를 공경하는 아이라면, 또 제대로 가정에서 사랑과 훈육을 같이 받고 배우며 자란 아이라면 학교에서 그렇게까지 되는 경우는 드물 것입니다.

제가 선친께 들었던 말씀이 떠오릅니다.
'집에서 새는 바가지 밖이라고 안 새냐?'
이젠 그런 말씀이라도 다시 듣고 싶은 심정입니다.

물론 여기 적은 이야기들이 꼭 기사 속의 그 선생님의 경우와 닿는 부분이 있어 적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子女를 가진 학부모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내 子女가 소중하고 귀여운 줄 알면 다른 누군가도 그 가정의 사랑스럽고 소중한 子女라는 것을 다시 한번 돌아보고 스스로를 먼저 돌이켜보는 우리 개개인의 잠깐의 break와 자성만으로도 이런 불행한 결말로의 치달음은 막을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안타까움에 주제넘은 글을 드렸습니다!

관련자료



댓글 23 / 1 페이지

livinglegend님의 댓글의 댓글

조ㅎㅇ 교육감 이 양반이 초창기에 아주 혁신적이고 참신해보이는, 그러나 당시로는 너무 앞서가는 듯한 정책들을 발표하며 주목받았지만, 그 분의 탓이라고만 보기에는 좀 그렇고...
너무 많은 기대를 한다거나 가정에서 이루어져야 할 부분을 너무 학교교육에만 떠맡기듯 의존하시는 부모님들의 의식이 문제상황의 더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leepd님의 댓글의 댓글

인권이 최고의 가치중 하나인 민주주의 체제도
이를 악용하고 짓밟는 말종들이 있습니다
그렇다고 민주주의를 포기 할 수 없는것처럼

옳은건 옳은 방향으로 가는게 맞고
이에 역행하고 방해하는 악한 버러지만
미리 방역하고 밟아 죽이는 방향이 맞겠죠?

leepd님의 댓글의 댓글

공감합니다.
시민들이 계몽되고 ,계몽된 시민들의 힘이 결집되는걸 가장 싫어 하는 집단
그들이 바로 우리 민중의 적 이고요 ..^^

livinglegend님의 댓글의 댓글

그럼에도 눈치를 보아 가며 우리 목소리를 내는 데에도 언어를 정화하고 살펴야 하는 상황이 참 안타깝습니다! ㅜㅜ

tommkr님의 댓글

공감합니다.
요즘 교통 운전 법규 규정이
위반 단속 신고 고발이
많아지고 불박 신고 포상 제도로
운전자들의 고충?이 말이 아니라고 하던데요~~
반대로 생각해 보자면 오죽하면
이정도 까지 하겠나~ 이해가 갑니다

학교 문제도 자가 정화~ 가
되지 않는다면야.
법 제도 시행으로 할 수밖에 없죠

가령 문제 말썽을 일으키는
학생에 한해서
생활 기록부에 영구적인 벌점 제도를
기록하고, 일정 벌점이 넘어간 이후에는
영구적으로 모든이들이 그 학생의
못된짓에 대한

영구 공개 열람이 가능하게 하고
동시에~ 그네들의 부모들 명단 까지
일반에 공개 열람 할 수 있게끔

규정을 바꿔야 할것입니다
이렇게 해서라도
지네들 못된 짓거리를 막아야죠

성범죄자에 대한
공개 열람 기능 처럼
활용해야 하지 않을까요

그와 더불어
각 교실 복도 교무실 곳곳에
CCTV를 의무적으로
설치하고 기록으로 남기는 것도
해 볼만 합니다

livinglegend님의 댓글의 댓글

생기부에 문제 학생의 기록 보존 기간을 늘이는 부분에 관한 의견이 제기되었던 것 같기는 합니다.
물론 CCTV 등의 활용 측면도 생각 가능하고 최근 거의 모든 학교에 도난, 사고 방지 등을 위하여 설치하기는 했지만, 교실에는 교육행위 또 교사와 학생들의 인권 문제 등으로 하여 설치하기에는 진퇴양난(?)인 그런 난감한 상황인 것으로 압니다.
뭐 아무튼 문제가 제기되었고 하니, 당장은 아니겠지만 점차 그 문제 상황이 공론화되고 논의가 이어져 바람직한-교육 담당자인 학교나 교사, 수요자인 학부모 그리고 다 나아가 피교육자인 학생들에게도 좋은 귀결이 될-변화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해봅니다.

삼풍 백화점 붕괴나 세월호 사고 때나 늘 그랬던 것처럼...
언제까지나 일이 터지고 나서야 우루루 몰려가서 애도를 표하고 또 한쪽에서는 제대로 하지 못한 쪽을 맹비난하고 또 어느 한 쪽은 다른 이유로 어느 쪽을 싸잡아 비난하고... 이런 메멘토같은 상황이 이제는 더 이상 나타나는 것을 보지 않았으면 합니다!
일어날 수밖에 없는 일이야 어쩔 수 없다 하더라도 방지할 수 있는 일은 인간의 노력으로 충분히 최소화, 방지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이런 것이 또한 교육의 효과가 아닐런지요?
전체 114 / 3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