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를 허용해주세요.
[ 자바스크립트 활성화 방법 ]
from Mohon Aktifkan Javascript!

포스트코로나 일상회복 전망

컨텐츠 정보

본문

표면적으로는, 한 1년 후 쯤, 백신으로 단체 면역 생기고, 

코로나를 감기 독감처럼 받아들이는 것이 일반화 될 때 일상회복이 가능 할거 같은 흐름, 


경제와 맞물려진 상황에서 어느시점 에선가는 

각 나라마다 코로나를 감기/독감처럼 받아들이고 

풀-경제활동 할 그 시기를 결정할 때가 있을 것인데.


간과할 수 없는 것은, 코로나 '치사율'이 

감기독감처럼 60대 이상 고령층에게 '치명적'인 사실을 

각 나라별, 정부와 국민이 풀-경제활동과 더불어 어떻게 타협을 보고, 

어느 시점에서 부터 풀-경제활동에 집중 하느냐 도 생각 할 부분 입니다. 


단. 매년마다 코로나가 더 이상 변종에 변종으로 탈변?해서 

'슈퍼바이러스'로 탈변 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일상회복이 가능하겠죠...

예상되는 슈퍼바이러스 = 코로나 (COVID-19) + 돼지독감(육) + ?독감(해) + 조류독감(공) + ?독감 + ?독감.

 => 국경'폐쇠' 만으로 바이러스 전파를 막을 수 없는 상황 


걱정되는 부분은, 전세계 여기저기에서 벌써부터 코로나 '변종'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코로나1 -> 백신1 -> 코로나2 -> 백신2 -> 코로나3 -> 백신4 이런 식으로...

마치 매년 매해마다 감기/독감주사를 접종해야 하는것 처럼 바뀔거에요..


언제나 그랬듯이 감기독감이던 코로나이던 간에 고령 노년층은 걸렸다 하면 

그 치사율은 치명적이 될 것이구요.


바이러스전쟁 = 세계3차대전, 

영화나 게임에서만 접해 보았던 걸 현실로 겪고 있다니, 씁쓸합니다.

관련자료



댓글 11 / 1 페이지

soundmaster님의 댓글

크게 다른 변종이 없어도 항체 자체가 오래가 못하는 독감과 같은 계열이기에...
특성상 분기나 반기 별로 계속 맞아야 할 것 같습니다.
전체 102 / 7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