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를 허용해주세요.
[ 자바스크립트 활성화 방법 ]
from Mohon Aktifkan Javascript!

Rufus 윈도우 투 고 설치 문의 드립니다

컨텐츠 정보

본문

윈도우 투 고 USB를 만들기위해서 Rufus를 통해 진행했더니

1809 ISO 기반으로 한 윈도우 투 고는 블루스크린이 뜬다 머라머라 뜨는데....

이 문제는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요

관련자료



댓글 4 / 1 페이지

토토로님의 댓글

win to go를 레거시 방식, UEFI 방식으로 만드냐에 따라서 다릅니다. 현재 대부분의 메인보드는 UEFI방식으로 부팅하게 됩니다. 메인보드가 구형인 경우에는 UEFI 방식으로 설치를 할 수 없습니다. 또는 UEFI방식만 지원하는 메인보드에서도 레거시 방식으로 설치할수 없습니다.
아래 유튜브 및 사이트 링크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1) https://www.youtube.com/watch?v=5WSprB5iyn0&t=197s
2) https://cafe.naver.com/ssdsamo/135601
3)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man1120&logNo=221443983730&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개구리삼촌님의 댓글

1803 버젼아닌가요? 그런데..꼭 1809 버젼을 사용하셔야 되는 것인가요? 아니면 최신 것으로 사용하세요.그리고 요즘 원투고는 잘 사용하지 않고 vhd만들어서 부모..그리고 자식 여러개 만들어서 사무실1에서는 자식1 사용하고 집에서는 자식2 사용하교....이런 식으로 사용하시는 것이 더 좋지 않을까요.원투고방식으로 사용안한지 몇년되엇네요usb도..3.0보다는 3.1이면 정말 빠르게 부팅됩니다.

저는 3.1 usb ...벤토이 만들고.20g의 .vhd방식으로 윈도우설치하고 각종 유틸설치하고..드라이버는 설치제외..이렇게 구성하고....부팅할려고 하니.일단 20g라는 것이 부담되고 여유공간이 부족해서..다시vhd를 dism를 이용해서 wimboot방식으로 wim를 만들고...이걸 다시 10g의 vhd에 풀어서 사용합니다.vhd는 wim를 불려와서 부팅된다고 보시면됩니다.10g의 vhd는 거의 전체 용량이 남아 있습니다.여유공간이 충분하다는 것이죠.usb로 부팅시에도 20보다는 10g가 속도가 더 빠르겟죠?
여기에..이걸 부모로..자식 3개 만들어서...사용용도에 따라서 드라이버 설치하고 사용하고 잇습니다.

원투고 방식이 그 전에 제가 사용하는 용도라면 어젠 vhd와 wimboot로 wim이미지 만들어서 다시vhd로 설치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면서 이젠 윈투고는 사용하지 않게되었습니다.무슨 용도인지를 모르겟지만..이 방식도 한번 고려해보세요..
6 럭키포인트 당첨!

Ncha님의 댓글의 댓글

와우 긴글 감사합니다~ :D
일단 윈도우투고를 할려 햇던데 평소에 일러스트레이터나 포토샵을 자주 사용하는데
다른데 일 하러 가다보면 프로그램이 없어서 급하게 작업이 어려울때가 있더라구요
그래서 찾아본게 윈도우투고 였습니다
USB만 있으면 언제나 집의 작업환경을 그대로 구현할 수 있다고 해서 ㅎㅎ
헌데 이렇게 저렇게 시도를 해봐도 결국 다 실패만 하고 잘 안되네요 ㅠ

개구리삼촌님의 댓글의 댓글

사실 윈투고 방식도 아시는 것처럼 usb나 외장형 하드인 경우에도 저는 3.1정도는 되어야 합니다.최소 3.0....vhd사용때문에 샌더익스프로 128g를 4만원넘게 주고 구입했습니다.큰 맘을 먹엇죠..3.1usb 외장형 하드는  아이피타임에....ssd를 넣어서 사용합니다.

말씀처럼 이렇게 하면 다양한 컴퓨터 환경..그래픽 드라이버가 서로 달라서..자식으로 사용하다가.문제가 생기면. 다시 복제해놓은 자식만 복사해서 사용하니.이 방식이 휄 편하더군요.윈투고도 좋긴한데...............가장 안좋은 장점은 다양한 컴퓨터에서 사용하다보면 자동적으로 설치되는 드라이버들로인해서 부팅속도도 느려지고.여기에...윈투고안에 잇는 윈도우가 깨어지는 경우..사실 좀 난감하더군요.그래서.vhd에 자식만들어서 사용하다가.몇개월전부터는.....고정vhd에.......dism의 wiboot를 이용한 방식으로 부팅하니.지금은 이것으로 만족합니다.말씀처럼 전...이렇게 외부에서 작업할 일이 생기면 하는데....지인들이 많이 신기하게 생각하더군요.좀 아는 지인은 pe라는 것 정도는 알지만.vhd여기에.wim를 .wimboot방식으로 vhd에 설치해서 고정vhd전체 용량을 사용하는 것에 다 신기하게 생각하더군요.일단 이번 기회에 다시 한번더 도전해보세요,.3.0도 좋지만..3.1은 체감적으로도 3.0보다는 휠씬...더 좋습니다..

일단 한번 도전해보세요..부팅툴은 벤토이(보안설정 체크,mbr로 설정후.주파티션을 다시ntfs로 수동포맷하시요)를 이용하시고...vhd를 만드는 법을 공부하시고.동적이 아닌 고정vhd방식으로요....20g되어야 겟죠.기본 윈도우와 유틸들을 설치한다면요..말씀처럼 한다면 30g의 고정vhd방식으로 해야되겟네요.그럼 3에서..4g정도 남을 것인데.용량이 적죠? 다시 이걸. wim방식으로 만들도...그럼 대략wim는 20g이하로 나올것입니다.대략 15g정도...다시 이걸 고정vhd를 새롭게 만들고..wim를 wimboot방식으로 vhd에 설치하면 ...거의 남은 용량이 1,3g정도되는vhd를 사용가능합니다.이걸 부모로 잡고.자식을 1,,3개 더 만들어서 각각의 컴퓨터에 대응하는 드라이버를 설치하면 ?...딱 일것 같습니다.

윈투고가 아에 안좋다는 의미가 아니고.이것보다더 좋은 것이 잇는데..이번 기회에 한번 도전해보세요..친구에게도 하나 만들어줫는데.고맙다고 ssd 240g를 선물로 주더군요..이것 저것 테스트용으로사용해라고하면서..즉, 마음에 든다는 것이겟죠  ? 몰라서 어렵지 알면 ,아무것도 아닙니다.일반 기본 개념을 설명드렸는데..이 개념으로 천천히 검색해보시면서....공부해보세요..

그런데...무엇 때문에 실패를 하셨을까요..최소 3.0은 되어야 합니다.그 이하의 속도라면 솔직시 작업이 잘되어도.단순히 부팅속도가 느린 것이 아닌..윈도우 구동 등에 문제가 생길수도 있어서요..그래서 최소 3.0의 usb나 외장형 하드를 권해드리는 것입니다.윈투고도 사실 3.0 이상의 속도가 나오는 저장매체에 작업하셔야 합니다.
전체 3,659 / 208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