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분류
회사 사무실 저만 인터넷 속도가 안나와요
컨텐츠 정보
- 8,579 조회
- 23 댓글
-
목록
본문
현재 인터넷 환경이 공유기> 모니터 랜포트> 맥북 c타입 이렇게 연결된 상태인데
인터넷 환경은 1기가이고 회사인데 다른 컴퓨터들은 속도가 700정도 나오거든요? 근데 저는 50정도 밖에 안나오네요
공유기 포트바꿔서도 다 껴 봤고 랜선도 다른 컴퓨터에선 잘나와서 공유기 랜포트 문제이거나 랜선 문제는 절대로 아닌 상황입니다.
다른 컴퓨터로 전부 확인해봤어요
모니터는 삼성 뷰피니티이고 스펙 보면 랜포트 규격이 1기가라 제대로 나와야 모니터 통해서 노트북에 물렸다고 인터넷 속도가 안 나오는 경우는 검색해도 안 나오던데
제 모니터 랜포트가 문제일 확률이 높겠죠?
다운은 50정도 나오는데 업로드는 300이 나오네요
다운로드보다 업로드 속도가 높은 경우도 있나요? 와이파이는 또 속도가 제대로 나오구요
모니터 랜포트가 불량인 것 같아서 센터에 가긴 할건데 불량이면 업로드속도도 안나와야 정상 아닌가요?..
관련자료
댓글 23
tommkr님의 댓글
모니터/노트북 기기 설정, 또는 공유기에서 불특정 접속 기기에 한해서~ 다운속도 제한을 디폴트 값으로 걸어놓은거 아닐까요?
네트워크 기기 담당자 분과 이부분 깰~끔~하게 상황 정리 해결 해 보세요. 그 다음으로는~
본문에 미리 언지를 주셔서 알고 있습니다(저 문해력 나쁘지 않습니다)만~ 하드웨어 쪽으로 접근하자면,
뇌피셜~이지만, 랜선 가닥 줄 이곳저곳이 밟히고 심하게 짖눌러지고 씨ㅂ혀있는 곳이 있기 때문에, 느린 속도 이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선 가닥 지나가는 길, 선 고정 부분, 두루두루~ 찬찬히 육안으로 훑어 보시고, 선 교체 해 보세요.
이쑤시개에 뾰족하게 찍찍이 테이프를 붙여서, 랜포트에 껴있는 먼지 때 찌꺼기를 찍어 떼어내는, 간단 청소도 시도해 보세요.. 휴대폰 충전단자 청소 방법과 동일합니다
이정도는 시도 해보시고, 멘탈무장 한 후, 서비스 센터에 가져가야지~ 그쪽에서도, 조리돌림 군말~없이 서비스 처리 해주지 않을까 합니다
덕분에, 랜포트 + USB-C 인터넷 속도 저하 가능성을 인지 하게 됐네요 ㅠㅠ
뭐가 어찌 되었던지 간에 중간에 뭐가 더해지면 불안정해 지는건 어쩔 수 없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모니터 스펙에, 인터넷 속도 명시가 교묘하게, 안 되어 있을 경우, 소비자가 억울하게 피해를 보게 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겠네요.
다른 방법으로는, 노트북 C타입 USB전용 도킹 스테이션을 따로 구입해서 그곳 랜 포트에 연결해서 써 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방법으로 인터넷을 원하는 제 속도로 사용하게 해줄지는~ 상세 스펙을 살펴 봐야겠죠~~
여담입니다만,
한국에서야 초고속 인터넷이
대중화 되어있어서
50 이라면 놀라 자빠질 느린 속도로
알고 계실지 모르시겠지만
믿으실지 모르시겠지만,
저는 해외에서
인터넷 상품 속도 30짜리로
집에서 넷플릿스 보고
롤 게임하고 유튜브 영상 1080p
시청 하는데 그리 불편없이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30따리 인터넷 으로
유튜브 채널도 한개
운용?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유튜브 영상
올라가는 속도는
30 이하로 알고 있습니다
50정도면, 사용하시는데 그리
크게 문제는 없을 듯 합니다
여튼, 대한민국 인터넷 속도
전세계 1등 이고 왕부럽습니다 ^^
네트워크 기기 담당자 분과 이부분 깰~끔~하게 상황 정리 해결 해 보세요. 그 다음으로는~
본문에 미리 언지를 주셔서 알고 있습니다(저 문해력 나쁘지 않습니다)만~ 하드웨어 쪽으로 접근하자면,
뇌피셜~이지만, 랜선 가닥 줄 이곳저곳이 밟히고 심하게 짖눌러지고 씨ㅂ혀있는 곳이 있기 때문에, 느린 속도 이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선 가닥 지나가는 길, 선 고정 부분, 두루두루~ 찬찬히 육안으로 훑어 보시고, 선 교체 해 보세요.
이쑤시개에 뾰족하게 찍찍이 테이프를 붙여서, 랜포트에 껴있는 먼지 때 찌꺼기를 찍어 떼어내는, 간단 청소도 시도해 보세요.. 휴대폰 충전단자 청소 방법과 동일합니다
이정도는 시도 해보시고, 멘탈무장 한 후, 서비스 센터에 가져가야지~ 그쪽에서도, 조리돌림 군말~없이 서비스 처리 해주지 않을까 합니다
덕분에, 랜포트 + USB-C 인터넷 속도 저하 가능성을 인지 하게 됐네요 ㅠㅠ
뭐가 어찌 되었던지 간에 중간에 뭐가 더해지면 불안정해 지는건 어쩔 수 없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모니터 스펙에, 인터넷 속도 명시가 교묘하게, 안 되어 있을 경우, 소비자가 억울하게 피해를 보게 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겠네요.
다른 방법으로는, 노트북 C타입 USB전용 도킹 스테이션을 따로 구입해서 그곳 랜 포트에 연결해서 써 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방법으로 인터넷을 원하는 제 속도로 사용하게 해줄지는~ 상세 스펙을 살펴 봐야겠죠~~
여담입니다만,
한국에서야 초고속 인터넷이
대중화 되어있어서
50 이라면 놀라 자빠질 느린 속도로
알고 계실지 모르시겠지만
믿으실지 모르시겠지만,
저는 해외에서
인터넷 상품 속도 30짜리로
집에서 넷플릿스 보고
롤 게임하고 유튜브 영상 1080p
시청 하는데 그리 불편없이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30따리 인터넷 으로
유튜브 채널도 한개
운용?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유튜브 영상
올라가는 속도는
30 이하로 알고 있습니다
50정도면, 사용하시는데 그리
크게 문제는 없을 듯 합니다
여튼, 대한민국 인터넷 속도
전세계 1등 이고 왕부럽습니다 ^^
livinglegend님의 댓글의 댓글
ㅎㅎ 주워들은 풍월이 있어 어느 정도 그 정도 해외의 상황을 조금은 알듯 합니다^^
호주의 경우 몇 년 전 유학생 子女를 둔 분의 말로는 거의 모뎀 수준이라고 하더군요.
그래도 그 서비스 환경이 유지되는 이유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걸 그렇게 불편하게 느끼지 않는 때문이라고 하더군요!
어딜 가나 앞으로 앞으로 빨리 빨리 대한민국 사람들의 빠름 빠름 문화 정말 경이로울 정도입니다.
거의 도깨비 방망이 수준의 서비스를 원하시는 것만 같습니다~! ㅎㅎ
호주의 경우 몇 년 전 유학생 子女를 둔 분의 말로는 거의 모뎀 수준이라고 하더군요.
그래도 그 서비스 환경이 유지되는 이유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걸 그렇게 불편하게 느끼지 않는 때문이라고 하더군요!
어딜 가나 앞으로 앞으로 빨리 빨리 대한민국 사람들의 빠름 빠름 문화 정말 경이로울 정도입니다.
거의 도깨비 방망이 수준의 서비스를 원하시는 것만 같습니다~! ㅎㅎ

주수리님의 댓글
글만읽고 단편적으로 생각하다보니 아닐 가능성도 있지만...
제가 생각하는 원인은 모니터 <-> c타입 간의 궁합(?)의 문제 일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보통 맥북은 c타입 포트가 순수 c타입 포트가 아니라 썬더볼트 포트(usb c-type 호환)형태로 나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모니터의 포트는 썬더볼트가 아닌 c타입으로 연결이 되어 있겠죠.
여기서 이 호환이 c타입의 속도를 제대로 지원하지 못하는 것은 아닐지 테스트 가능하시다면 썬더볼트 lan 카드나, 썬더볼트 독 등을 이용해서 테스트를 해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제가 생각하는 원인은 모니터 <-> c타입 간의 궁합(?)의 문제 일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보통 맥북은 c타입 포트가 순수 c타입 포트가 아니라 썬더볼트 포트(usb c-type 호환)형태로 나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모니터의 포트는 썬더볼트가 아닌 c타입으로 연결이 되어 있겠죠.
여기서 이 호환이 c타입의 속도를 제대로 지원하지 못하는 것은 아닐지 테스트 가능하시다면 썬더볼트 lan 카드나, 썬더볼트 독 등을 이용해서 테스트를 해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Grayhat38님의 댓글
https://blog.naver.com/kwshop89/221211758290
이더넷 케이블 cat 1 2 3 4 5 5e 6 6e 6a 7 7a 8 속도 차이가 있어요
UTP/FTP/STP 선 종류에서 막굴러다니는 통신사에서 주는 랜선(cat.4) 최악이니 버리세요 ㅋ
https://blog.naver.com/kwshop89/221220300776
자세한 설명은 링크 참고 해주세요 ^^;; (플랫 랜선 비추)
이더넷 케이블 cat 1 2 3 4 5 5e 6 6e 6a 7 7a 8 속도 차이가 있어요

UTP/FTP/STP 선 종류에서 막굴러다니는 통신사에서 주는 랜선(cat.4) 최악이니 버리세요 ㅋ
https://blog.naver.com/kwshop89/221220300776

자세한 설명은 링크 참고 해주세요 ^^;; (플랫 랜선 비추)
쉬엄딩굴님의 댓글
C to C 케이블을 모니터 번들을 쓰시는지 그냥 기존에 쓰던 걸 쓰시는지 모르겠으나
DP 디스플레이와 1Gbps 유선랜 기능을 동시에 쓰는 경우 흔한 저가형 케이블의 경우(휴대전화 번들 포함) UHD와 기가랜을 같이 쓰면 대역폭 감당이 안될 수도 있습니다.
또한 거기에 PD 기능까지 쓰면 선재가 부실하면 발열 감당이 안되어서 성능이 제대로 안나올 수도 있습니다.
공유기, 랜선, 모니터 문제보다는 C to C 케이블의 문제일 것 같은 느낌입니다.
20Gbps 이상의 케이블은 비쌉니다. 썬더볼트4 인증은 더 비싸고요. 당연히 굴러다니는 몇천원대 케이블과는 고해상도 모니터 연결시 및 부가 기능 동시 사용시 차이가 나는 걸 확인 가능합니다.
https://prod.danawa.com/info/?pcode=15242042
참고로 UHD 60Hz 기준으로 15Gbps 대역폭이 필요합니다.
https://www.intel.co.kr/content/www/kr/ko/support/articles/000023004/graphics.html
DP 디스플레이와 1Gbps 유선랜 기능을 동시에 쓰는 경우 흔한 저가형 케이블의 경우(휴대전화 번들 포함) UHD와 기가랜을 같이 쓰면 대역폭 감당이 안될 수도 있습니다.
또한 거기에 PD 기능까지 쓰면 선재가 부실하면 발열 감당이 안되어서 성능이 제대로 안나올 수도 있습니다.
공유기, 랜선, 모니터 문제보다는 C to C 케이블의 문제일 것 같은 느낌입니다.
20Gbps 이상의 케이블은 비쌉니다. 썬더볼트4 인증은 더 비싸고요. 당연히 굴러다니는 몇천원대 케이블과는 고해상도 모니터 연결시 및 부가 기능 동시 사용시 차이가 나는 걸 확인 가능합니다.
https://prod.danawa.com/info/?pcode=15242042
참고로 UHD 60Hz 기준으로 15Gbps 대역폭이 필요합니다.
https://www.intel.co.kr/content/www/kr/ko/support/articles/000023004/graphics.html
도마도님의 댓글의 댓글
답변 감사합니다!
어제 이거 때매 스트레스 받아서 새벽에 종일 검색해봤는데 랜포트가 달린 삼성 뷰피니티나 델 모니터에서 인터넷 속도나 4k 60이 제대로 안 된다는 글을 봤어요.
말씀해주신 대로 c타입 케이블 대역폭 문제인 것 같아요! 그리고 그랬으면 하는 바램이고요.. 모니터나 맥이 문제이면 답이 없어서요 ㅠㅠ
c타입 하나로 데이터/4k/충전/허브 기능을 통한 랜까지 한방에 해결하려고 삼성모니터로 고른 거 였는데
제가 대역폭은 아예 생각을 못하고 있었네요. 일단 제가 산 뷰피니티s8 스펙을 찾아보니 c타입 단자가 usb 3.2 gen1이더라고요.
3.1인지 3.2인지 최근에 규격이 계속 바뀌어서 정확히 기재된 건진 모르겠지만 일단 확실히 썬더볼트는 아닌 상황인데
맥북은 썬더볼트4까지 지원해도 모니터가 usb 3.1~3.2인데 케이블을 모니터에 맞춰서 3.2정도를 사야할지 썬더볼트나 usb4를 사야할지 모르겠네요
맥북은 썬더볼트니까 케이블도 맞춰서 쓰는 게 차이가 큰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어제 이거 때매 스트레스 받아서 새벽에 종일 검색해봤는데 랜포트가 달린 삼성 뷰피니티나 델 모니터에서 인터넷 속도나 4k 60이 제대로 안 된다는 글을 봤어요.
말씀해주신 대로 c타입 케이블 대역폭 문제인 것 같아요! 그리고 그랬으면 하는 바램이고요.. 모니터나 맥이 문제이면 답이 없어서요 ㅠㅠ
c타입 하나로 데이터/4k/충전/허브 기능을 통한 랜까지 한방에 해결하려고 삼성모니터로 고른 거 였는데
제가 대역폭은 아예 생각을 못하고 있었네요. 일단 제가 산 뷰피니티s8 스펙을 찾아보니 c타입 단자가 usb 3.2 gen1이더라고요.
3.1인지 3.2인지 최근에 규격이 계속 바뀌어서 정확히 기재된 건진 모르겠지만 일단 확실히 썬더볼트는 아닌 상황인데
맥북은 썬더볼트4까지 지원해도 모니터가 usb 3.1~3.2인데 케이블을 모니터에 맞춰서 3.2정도를 사야할지 썬더볼트나 usb4를 사야할지 모르겠네요
맥북은 썬더볼트니까 케이블도 맞춰서 쓰는 게 차이가 큰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쉬엄딩굴님의 댓글의 댓글
썬더볼트가 USB 하위호환이 되고 중장기적으로 계속 쓸 케이블이므로 좀 비싼거 구매하시는게 좋습니다.
랩톱이나 모니터에 비하면 소소한 가격이고 일단은 업무용이므로 효율과 안정성이 좋아야하지요.
개인용이야 가성비 생각해서 20Gbps 나 40Gbps 라도 무난할 것이고요.
Gen1 이라 표시된 것은 5Gbps 입니다. 앞에 USB 버전은 무시해도 됩니다(중간에 버전 표기 방식이 바뀌어서 혼동만 됩니다).
Gen1(5Gbps), Gen2(10Gbps), 20Gbps, 40Gbps 이런거만 확인하면 됩니다.
랩톱이나 모니터에 비하면 소소한 가격이고 일단은 업무용이므로 효율과 안정성이 좋아야하지요.
개인용이야 가성비 생각해서 20Gbps 나 40Gbps 라도 무난할 것이고요.
Gen1 이라 표시된 것은 5Gbps 입니다. 앞에 USB 버전은 무시해도 됩니다(중간에 버전 표기 방식이 바뀌어서 혼동만 됩니다).
Gen1(5Gbps), Gen2(10Gbps), 20Gbps, 40Gbps 이런거만 확인하면 됩니다.
도마도님의 댓글의 댓글
답변 정말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처음 댓글 주신 것 보고 썬더볼트 케이블 좋은 걸로 주문하려다가
새로운 정보를 더 접하고 왔는데
https://blog.naver.com/gwo_on/222958973328
https://blog.naver.com/olivepage/222780962009
말씀하신 대로 설계가 잘못된 것 같아요.. 그래서 그냥 HDMI를 따로 맥에 꼽는 게 제일 낫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역시 그렇게 생각하시는군요. 맥북에 HDMI포트도 있어서 거기에 연결하는 게 제일 가성비 좋은 방법일 것 같아요. 뷰피니티 외에 휴대용 모니터까지 연결해서 c타입 포트가 부족하거든요 ㅠㅠ 내일 출근해서 확인해볼건데 후기 남겨드리겠습니다!
처음 댓글 주신 것 보고 썬더볼트 케이블 좋은 걸로 주문하려다가
새로운 정보를 더 접하고 왔는데
https://blog.naver.com/gwo_on/222958973328
https://blog.naver.com/olivepage/222780962009
말씀하신 대로 설계가 잘못된 것 같아요.. 그래서 그냥 HDMI를 따로 맥에 꼽는 게 제일 낫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역시 그렇게 생각하시는군요. 맥북에 HDMI포트도 있어서 거기에 연결하는 게 제일 가성비 좋은 방법일 것 같아요. 뷰피니티 외에 휴대용 모니터까지 연결해서 c타입 포트가 부족하거든요 ㅠㅠ 내일 출근해서 확인해볼건데 후기 남겨드리겠습니다!
도마도님의 댓글의 댓글
테스트 해봤는데 hdmi로 연결해도 속도가 같아서 찾아보니까 모니터에 c타입 데이터속도 우선/해상도 우선 모드가 있더라거요
데이터우선으로하면 속도는 300정도 나오던데 그래도 다른 윈도우 pc에 비해 반 정도 밖에 안되고 화질이 확 안 좋아지더라거요..
그래서 과감하게 포기하고 와이파이를 쓸려 그랬는데 와이파이로 ip타임 나스 smb로 사용하면 윈도우 3분의1밖에 안나와서 사용을 못하겠어요
윈도우는 50mbps 정도는 나와주던데 맥은 대략 10정도 인것 같네요 ㅜㅜ
유선랜포트 쓰면 달라질까요? 와이파이가 아무리 불안해도 그래도 600mbps는 나오는데 나스에서 300mb짜리 불러오면 30초가 걸리는 상황입니다
데이터우선으로하면 속도는 300정도 나오던데 그래도 다른 윈도우 pc에 비해 반 정도 밖에 안되고 화질이 확 안 좋아지더라거요..
그래서 과감하게 포기하고 와이파이를 쓸려 그랬는데 와이파이로 ip타임 나스 smb로 사용하면 윈도우 3분의1밖에 안나와서 사용을 못하겠어요
윈도우는 50mbps 정도는 나와주던데 맥은 대략 10정도 인것 같네요 ㅜㅜ
유선랜포트 쓰면 달라질까요? 와이파이가 아무리 불안해도 그래도 600mbps는 나오는데 나스에서 300mb짜리 불러오면 30초가 걸리는 상황입니다
쉬엄딩굴님의 댓글
게시판 댓글 구조가 일정 단계부터는 제한이 있어서 그냥 새 댓글로 씁니다.
맥북과 모니터는 HDMI 로 연결하시고 맥북에 아래 같은 멀티 허브로 유선랜을 직결해서 쓰는게 나을 것 같습니다.
https://www.aliexpress.com/item/1005005239496890.html
제품과 기능과 가격대는 그때 그때 다양하니 검색을 좀 해보시는게 좋을 것이고요.
멀티 허브 자체는 용도가 꽤 많은 편입니다. 단순 허브 및 리더기에서 넘어가서 휴대전화에 OTG 나 DeX 지원도 되고 캐스트 기기(크롬 캐스트 등)에서 포트가 부족한 상황에서 스토리지 및 주변기기 연결도 편해지고요.
SMB 공유는 보안상 결함이 있어서(웜바이러스나 랜섬웨어 등에 취약) 맥에서는 제한을 걸고 있을 겁니다.
원래는 윈도에서도 SMB 프로토콜 공유 기능을 사용하지 말라고 MS에서도 공지하고 있습니다.
맥북과 모니터는 HDMI 로 연결하시고 맥북에 아래 같은 멀티 허브로 유선랜을 직결해서 쓰는게 나을 것 같습니다.
https://www.aliexpress.com/item/1005005239496890.html
제품과 기능과 가격대는 그때 그때 다양하니 검색을 좀 해보시는게 좋을 것이고요.
멀티 허브 자체는 용도가 꽤 많은 편입니다. 단순 허브 및 리더기에서 넘어가서 휴대전화에 OTG 나 DeX 지원도 되고 캐스트 기기(크롬 캐스트 등)에서 포트가 부족한 상황에서 스토리지 및 주변기기 연결도 편해지고요.
SMB 공유는 보안상 결함이 있어서(웜바이러스나 랜섬웨어 등에 취약) 맥에서는 제한을 걸고 있을 겁니다.
원래는 윈도에서도 SMB 프로토콜 공유 기능을 사용하지 말라고 MS에서도 공지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