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 모든 방(거실포함)에 인터넷이 되게끔 하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컨텐츠 정보
- 10,623 조회
- 20 댓글
-
목록
본문
아파트 입니다..신축...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지어진지는 5~6년정도 된것 같습니다..
인터넷은 KT 사용중입니다.
신발장에 단자함이 있고 거기에 공유기(?)가 있음을 확인했습니다.(KT공유기)
선 3개가 꼽혀있는데 하나는 WAN 포트인걸 보니 메인 아파트에서 뿌려주는 선인것 같고 나머지는 안방과 드레스룸에 연결되는
2개의 선이 꼽혀있습니다. 안방에 와이파이가 되는 공유기(?)가 설치되어있습니다..이게 KT에서 연결해 준 것 같네요..;; 명칭이 뭔지는 잘은 모르겠습니다만;;
현재로서는 안방에는 그냥 와이파이가 되는 공유기가 연결되어있고, 드레스룸에서 선을 하나 따와서 IP-TIME 공유기로
메인 컴퓨터와 와이프 노트북이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여기에 마루(거실)에 2곳(아이들의 책상과 컴퓨터가 거실에 있습니다)..그곳에 2개의 컴을 인터넷 연결해 주고 싶습니다..)
더 나아가서는 각 아이들의 방(방이 2개 있습니다..)에도 인터넷을 연결해 주고 싶은 바램입니다..
준비물은 네트워크 케이블 테스터기 / 랜 커플러 1개 / 기가 스위칭 허브(8포트) / 랜선 CAT8(2개) + CAT6e(2개) 이렇게 준비해두고 있습니다..
들어오는 KT 인터넷 제품은 500메가로 알고 있습니다만...(1GB일수도 있습니다;; 이건 와이프가 한거라 잘은;;)
속도가 다소 떨어져도 상관없지만...선정리 깔끔하게 연결하고 싶은데..
지금 추리고 추려서 홈 네트워크 하는 유X브를 8~13개 정도 봤는데도 방법이 조금씩 다르고 단자함 구조가 조금씩(?) 달라서 헷갈리고 있습니다;;;
거기에 프린터까지 연결되게 하고 싶은데 프린터는 삼성 레이저(흑백) 제품인데 이건 또 어떻게 연결해야 하는건지 모르겠더라구요..ㅠ.ㅠ
(하나의 컴퓨터에 연결하지 않고 인터넷으로 연결해서 모든 컴퓨터에서 인쇄가 가능하게 할 수 있는지가 궁금합니다...
그게 안되면 프린터 놓을 장소가 좀 애매해 지거든요.ㅠ.ㅠ)
집에 TV는 없습니다...향후 10년 정도는 놓을 생각이 없구요;; 그래서 IPTV니 뭐니는 필요가 없습니다..
아...확장기라고 해야할지;; KT에서 한달에 2000원 정도에 사용할 수 있는 Mesh? 도 하나 주문하긴 하였습니다;;
이건 뭐;; 잘못한건진 모르겠으나;; 공유기가 안방에 있어서 아이들방까지 가면 벽이 많아서인지 인터넷이 아이들 방에서는 신호가 굉장히 약합니다..;;
그래서 그 메쉬? 확장기? 는 거실에 있는 아이들 책상쪽에 놓고 사용중이긴 합니다...(이건 랜선은 없이 그냥 전원만 꼽으면 작동하는 것 같더라구요.;;)
유X브에서 어떤 자료를 봐야 좋을지...아니면 혹시 간결하게 어떻게 해야 온 집에서 "유선"으로 인터넷을 할 수 있을지
방법을 알고 계시면 도움을 좀 주셨으면 좋겠습니다..ㅠ.ㅠ
유X브 영상 여러개를 봤습니다만 감은 오는데 잘은 모르겠더라구요..ㅠ.ㅠ
도와주세요..ㅠ.ㅠ
관련자료
쉬엄딩굴님의 댓글
집 도면과 배선 구조를 모르니 그냥 일단 배선 부분은 넘어가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살펴보자면
스위칭 허브는 공유기 아래쪽에 물려주면 됩니다. 랜선은 굳이 비싸게 CAT8 쓸 필요는 없습니다. CAT5e 부터는 1Gbps 지원합니다.
인터넷 회선 및 공유기와 스위칭 허브 및 PC 본체가 1Gbps 규격인 상황에서 케이블만 더 대역폭 높아봐야 의미가 없습니다.
프린터는 모델이 뭔지 모르겠으나 유선랜 포트라도 지원되는 기종이 아니면 단독 네트웍 프린터로 쓸 수 없습니다. 반드시 PC가 한대 켜져서 공유 모드 정도로나 쓸 수 있는 것이고 그게 번거롭다면 USB 프린터 서버를 구매하거나 프린터 서버 기능이 있는 공유기를 하나 구매하는 방법 정도입니다. 프린터 서버보다 공유기가 저렴합니다.
http://iptime.com/iptime/?page=2&page_id=67&uid=7447&mod=document
http://iptime.com/iptime/?pageid=2&page_id=67&uid=23351&mod=document
저라면 유선 작업이 번거롭다면 그냥 가능하면 무선(5GHz)으로 셋팅하는 편입니다.
익스텐더 여러개와 USB 3.x 무선랜카드 또는 PCI-E 무선랜 카드들의 조합으로 말이지요.
https://iptime.com/iptime/?page_id=11&pf=6
https://iptime.com/iptime/?page_id=11&pf=8
집에 안쓰는 스마트폰이 있다면 그걸 USB 케이블 연결해서 USB 테더링 기능을 켜면 PC에 연결시 무선랜 카드로 쓸 수도 있고 보통 스마트폰의 무선랜 칩이 준수한 편이라 비용 절감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다만 스마트폰의 USB 단자가 대부분 2.0 규격(480Mbps 규격이지만 하프 규격이고 손실 감안하면 200Mbps 안쪽)이라 대용량 고속 전송은 조금 불만스러울 수도 있으나 실사용시 일반적인 100Mbps 회선 대역폭은 넘어가므로 큰 불편함 자체는 없기도 합니다.
다무드님의 댓글의 댓글
프린터는 삼성 SL-M2083FW 제품을 사용중입니다..유선랜이랑 Wi-fi 둘다 지원되는 제품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실제로 홈네트워크 구축하기전_현 상황입니다만..스마트폰으로 인쇄를 해본적이 있습니다..Wi-fi 로요..)
케이블은 있는것을 최대한 활용해서 글 올린 것입니다..추가로 산 것은 없구요..
기존에 회사에서 쓰던 랜선과 집에 남아도는 랜선이 있어서 준비한 것입니다..
최대한 랜선이 거실이나 각 방에 보이지 않게 설치하고 싶어 문의 드립니다..
각 방, 거실, 안방, 드레스룸 모두 랜 포트는 위아래 2개는 있습니다..
borabora님의 댓글
이경우,,, 안방에서 연결 라인이 아이들 방쪽으로 연결 가능 할것이고... 병렬이면..배전함에서 공유기 설치하고 각방으로 라인이 연결 되야 할것 입니다.
관리실에 물어보세요. ^^...... 참고로 우리집은 배전함 -작은방(애들방)-안방-거실-부엌방 순서로 직렬로 연결이더군요.. ^^
Sam4Amor님의 댓글
어차피 기본은 공유기에서 각 PC 로 연결하는 것이고, 공유기에 프린터 서버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면 원하시는 인터넷 연결 방식도 간단하게 해결 됩니다.
공유기에 기능이 없다면 프린터에서 유선/무선 네트워크로 공유기에 연결이 가능해야 합니다 (무선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써보니 문제가 좀 많아서리..)
borabora 님 말씀대로 배선도면을 구하셔서 올려 주시면 연결을 어떻게 하는게 효율적일지 답변을 드릴 수 있습니다
주수리님의 댓글
그런 부분이 제한되시고, 배선을 깔끔하게 하고 싶으시고, 응답속도(핑)를 조금 포기 하실수 있다면 무선 브릿지 기능을 이용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요즘 무선통신기능이 많이 좋아져서 fps 게임 등 0.xx초 대에서 희비가 엊갈리는 수준의 이용이 아니라면 큰 체감이 되지는 않습니다.)
메인 무선 공유기 -----무선------- 무선 공유기 --유선-- 단말기 형태로 구성하면 배선을 위한 타공 없이도 가능 할 것 같습니다.
전파수준 고려해서 최대한 los에 방해받지 않도록 징검다리 식으로 구성하시면 될 꺼같아요. 이런식으로 하면 집크기는 어떤지 모르겠지만 집안에 와이파이 난청도 극복 할 수 있을 듯 하구요.
무선공유기를 여러번 타는 것도 가능합니다.
야미님의 댓글
그렇다면 단자함에 각방의 랜단자와 연결된 랜케이블이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나서 어떤 랜케이블이 어디에 연결된 것인지 하나씩 확인을 해보셔야 하고요.
그런데 질문에는 단자함의 모뎀에 선3가닥만 꼽혀있다고 하시니 랜케이블이 안나와 있다는 말씀 같기도 하고.. 애매 합니다.
단자함 내부 사진만 잘 찍어주셔도 쉽게 답을 얻으실 것 같습니다.
참고로 각 방마다 2개의 랜포트가 있다고 하시는데.. 아마도 1개는 랜포트이고 1개는 전화선단자일 확률도 있습니다.
간혹 랜케이블 1개로 랜포트와 전화선단자 2개를 나눠서 설치하는 경우도 있어서 정확하게는 각 방에 있는 해당 단자를 뜯어서 내부 사진을 보여주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만약 랜케이블을 나눠서 2개로 만들었다면 이걸 다시 정상으로 1개로 바꿔주시는 작업을 하셔야 합니다.
위의 사항들을 자세히 알려주시고 단자함에 있는 모뎀? 공유기? 사진과 드레스룸에서 사용하시는 공유기 모델명, 프린터 모델명을 알려주시면
어떻게 연결하시는게 최선인지 답변이 있을 것 같습니다.
야미님의 댓글
랜케이블은 총 8가닥의 선이 들어 있는데 이 중에서 4가닥만 연결해도 100M까지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혹시라도 이 부분을 확인하셔야 500M나 기가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랜테스터기가 있다고 하셨으니 단자함에 있는 케이블과 방에 있는 랜포트에 랜케이블 하나 꼽아서 테스터기 사용해보시면 8가닥이 모두 연결되어 있는지 4가닥만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 가능합니다.
(단자를 뜯어서 안봐도 됩니다.)
그리고 지금 벽 내부에 깔려있는 케이블은 cat5e 일 확률이 99.9% 입니다.^^
그래서 cat8, cat6e 케이블을 사용한다고해도 cat5e의 최대속도인 기가인터넷까지 사용 가능합니다.
나중에 10G 인터넷을 사용하려 한다면 벽 내부의 케이블도 교체해야 하는거죠.(아직까지 집에서 10G 인터넷을 사용할일은 없지만요)
마루하님님의 댓글
(1) 4포트 허브를 하나 준비한다
(2) 배전반에서 각각 방으로 배선된 랜선을 찾는다 (보통 4선만 사용해서 배선함, 브랜드있는 아파트이면 8선을 모두 사용함)
(3) KT공유기 포트와 4포트 허브를 랜선 1개를 사용해서 연결한다
(4) 랜선을 배전반 포트에 연결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3개를 잘라서 한쪽만 랜 커넥터를 찝어서 허브에 연결한다
(5) 나머지 가닥들을 신호배선에 맞추어 배전반 커넥터에 연결한다 (이때는 작은 일자 드라이버를 사용해서 랜선 한가닥씩 꼭 눌러 꽂아준다)
* (참고로) 배전반 사진이 없어 추정할 수는 없지만, 대부분 랜선 배전반에는 각 방을 구분할 수 있는 번호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 케이블 테스터기를 사용해서 방마다 각각 확인하셔야 합니다. (보통 거실은 2포트가 나와 있고, 방에는 1포트씩 랜 포트가 각방의 벽에 랜선을 꼽을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 이미 KT공유기를 통해서 연결된 방의 배전반 연결 형식을 보시고 따라하시면 됩니다.
대전똘똘2님의 댓글
추가로 덧붙여 답변 드리겠습니다.
(1) 4포트 허브를 하나 준비한다
신발장 내부 단자함에 추가 설치하시는 겁니다.
(2) 배전반에서 각각 방으로 배선된 랜선을 찾는다 (보통 4선만 사용해서 배선함, 브랜드있는 아파트이면 8선을 모두 사용함)
기가인터넷 사용시 8핀 모두를 사용하기에 5년이내 아파트라면 4페어 모두를 사용할 확률이 높습니다.
(3) KT공유기 포트와 4포트 허브를 랜선 1개를 사용해서 연결한다
KT공유기 WAN에서 4포트 허브 아무포트나 상관없이 연결해주세요.
(4) 랜선을 배전반 포트에 연결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3개를 잘라서 한쪽만 랜 커넥터를 찝어서 허브에 연결한다
보유중이신 랜케이블을 사용하여 잭(RJ45)부분 제외하고 뒷부분 케이블을 잘라서 사용하시면 한라인당 2가닥 제작이 가능하겠네요.
(5) 나머지 가닥들을 신호배선에 맞추어 배전반 커넥터에 연결한다 (이때는 작은 일자 드라이버를 사용해서 랜선 한가닥씩 꼭 눌러 꽂아준다)
잭부분 뒤에 케이블 부분에서 단자함에있는 IDF 단자라는 케이블이 막 걸려있는 부분에 같은 색상으로 마주보게 1:1로 연결해주세요.
작은 일자드라이버는 단자함이 파손될 확률도 있으니 커터칼 등으로 눌러주시면 편합니다.
케이블 테스터기 사용시 1,2,3,4 순으로 잘나오는지 확인만 하시면 가능합니다.
추가로 야미님께서 답변해주신 부분을 설명드리자면, KT 메인스위치에서 작성자분 집으로 들어오는 공인IP는 하나입니다.
그 IP에서 허브를 이용해 내부아이피 192. 대로 여러대를 사용할때 메인스위치에서 MAC이라는 주소가 등록되게 됩니다.
그 맥어드레스가 몇개가 올라오는지 보이기에 KT에서 제한이 가능합니다.
저희집은 총 3대의 PC를 랜케이블로 사용중입니다. TV까지 포함하면 4대입니다. 저같은 경우엔 KT 고객센터와 마음의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잘 알아듣게 얘기하여 3대까지는 사용가능하게 해줬습니다. 나중에 차단메세지가 나오면 마음의 대화를 나눠보세요. ㅎㅎ
다무드님의 댓글의 댓글
저희 집엔 TV가 아예 없어서 제 컴 하나랑 아이들 컴 2대, 가~~끔씩, 아주~~가뭄에 콩나듯이 가~~끔씩 와이프가 노트북을 사용하는데
노트북은 와이파이가 되니..실질적으로 최대한 써봐야 3대거든요...아..프린터까지 포함되면 4개? 이겠네요..ㅠ.ㅠ
마음의 대화가 무엇인지 궁금하네요..ㅎㅎ
주말에 한번 도전해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