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분류
램관련 궁금한점이있습니다. (삼성+마이크론 조합)
컨텐츠 정보
- 5,660 조회
- 22 댓글
-
목록
본문
현재
마이크론 ddr3 4g 12800 2장 장착되있습니다.
여기에 삼성 ddr3 4g 12800 2장을 추가하여
총 4기가 4장을 장착할까생각합니다.
질문1. 삼성+마이크론 조합시 문제될까요?
질문2. 4기가 4장 vs 8기가 2장 뭐가 더 효율이좋나요?
질문3. CPU가 i5-6500 입니다. 현재 총8기가에서 16기가로 추가 램업글 의미있을까요?
미리감사드립니다.
관련자료
댓글 22
쉬엄딩굴님의 댓글
3. 일반적인 용도 - OA, 웹서핑, 미디어 감상으로는 8GB 정도면 무난합니다. 노트북의 경우 보급형으로 출고되는 대부분이 4~8GB 입니다.
2. 인체가 체감하기는 힘들 정도로 별 차이는 없습니다. 동일 용량을 블라인드 테스트하면서 메모리가 무슨 용량으로 어떤 구성이냐고 맞춰보라면 못 맞춥니다. 단, 여분 슬롯 확보차원에서 고용량이 더 좋지요.
1. 대부분 문제 없습니다만 아주 드물게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보드마다 호환성은 다를 수 있습니다.
혹시 SSD가 없다면 메모리 증설보다는 SSD를 우선시 하시는게 체감 성능 향상에는 탁월하게 좋습니다.
2. 인체가 체감하기는 힘들 정도로 별 차이는 없습니다. 동일 용량을 블라인드 테스트하면서 메모리가 무슨 용량으로 어떤 구성이냐고 맞춰보라면 못 맞춥니다. 단, 여분 슬롯 확보차원에서 고용량이 더 좋지요.
1. 대부분 문제 없습니다만 아주 드물게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보드마다 호환성은 다를 수 있습니다.
혹시 SSD가 없다면 메모리 증설보다는 SSD를 우선시 하시는게 체감 성능 향상에는 탁월하게 좋습니다.
쉬엄딩굴님의 댓글의 댓글
둘 다 제조사 권장 Minimum Recommended System Power (W)는 300W 입니다.
1050은 소비전력 75W, 1030은 30W 입니다.
제조사에서 외장 그래픽은 고려 안하는 스펙으로 출시된 것이라 굳이 외장 그래픽을 장착하시겠다면 파워 교체를 하셔야 할 건데 사이즈나 배선이 특이해서 검색을 좀 해보셔야 할 겁니다.
델이나 HP 사무용 모델이 전용 커넥터로 보드로 전원이 들어간 후에 보드에서 다시 스토리지 등의 전원 케이블이 나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구매가격에 비해서 파워 교체 비용 또는 케이스 교체 비용이 더 나올 수도 있습니다.
이것 저것 업글하다보면 어느 순간 12세대 내장 펜티엄 골드나 i3 급 핵심 부품 가격(CPU, 보드, 메모리) 나올 수도 있습니다.
물론 신형이 세대차 때문에 모델 등급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압도적으로 성능이 좋습니다.
부품 호환성이 제약되는 구형 모델에 어느정도 투자를 할 것인지 한계선을 정해놓는 것이 좋습니다.
https://www.cpubenchmark.net/compare/Intel-i5-6500-vs-Intel-Pentium-Gold-G7400-vs-Intel-i3-12100/2599vs4732vs4687
1050은 소비전력 75W, 1030은 30W 입니다.
제조사에서 외장 그래픽은 고려 안하는 스펙으로 출시된 것이라 굳이 외장 그래픽을 장착하시겠다면 파워 교체를 하셔야 할 건데 사이즈나 배선이 특이해서 검색을 좀 해보셔야 할 겁니다.
델이나 HP 사무용 모델이 전용 커넥터로 보드로 전원이 들어간 후에 보드에서 다시 스토리지 등의 전원 케이블이 나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구매가격에 비해서 파워 교체 비용 또는 케이스 교체 비용이 더 나올 수도 있습니다.
이것 저것 업글하다보면 어느 순간 12세대 내장 펜티엄 골드나 i3 급 핵심 부품 가격(CPU, 보드, 메모리) 나올 수도 있습니다.
물론 신형이 세대차 때문에 모델 등급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압도적으로 성능이 좋습니다.
부품 호환성이 제약되는 구형 모델에 어느정도 투자를 할 것인지 한계선을 정해놓는 것이 좋습니다.
https://www.cpubenchmark.net/compare/Intel-i5-6500-vs-Intel-Pentium-Gold-G7400-vs-Intel-i3-12100/2599vs4732vs46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