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분류
애프터이펙트 가벼운작업, 프리미어, 포토샵용 견적 조언 부탁드립니다!
컨텐츠 정보
- 6,775 조회
- 14 댓글
-
목록
본문
유튜브 영상편집 + 포토샵 상세페이지 디자인하는데
가끔씩 포토샵하다가 버벅거릴 때도 있고 프리미어는 한번 저장하고 껐다가 키면 로딩이 제대로 되질않아서 위사양으로 바꾸려는데 괜찮을까여? 회사 컴퓨터입니다
기존 회사 컴퓨터 사양은 메모리 16g / i5 7500 / 1060 3g라 당연히 부족하진 않겠지만 너무 과한 사양은 아닌지 피드백 좀 부탁드릴게요.
그리고 라이젠 5800대비 인텔로 가는게 괜찮을까요? 요번 12세대가 잘 나오긴 했다는데 어도비 쪽은 인텔이 아직 나은 것 같아서 이렇게 짜봤거든요.
당장 필요한 상황이라 존버는 필요없고 하드는 기존꺼 쓸 것 같아요
향후에는 4k영상으로 업로드 할 가능성도 있고 대표님은 현재 사양에서 업그레이드 하는 쪽으로 얘기하는데 제일 중요한 cpu바꾸면 사실상 보드랑 다 바꾸는거라 새로 사는쪽으로 얘기해보려고요.
조언 부탁드릴게여!
관련자료
댓글 14
tommkr님의 댓글의 댓글
어디서 가격 비교를 하신지는 모르겠지만,
DDR5가격이 DDR4보다 아직도 많이 비쌉니다.
회사에서 감당할 정도가 되시면 DDR5 가면 좋겠지만,
숫자가 커보여서 상대적으로 빠르게 현혹? 될 뿐이지~
DDR5 성능향상은 비싼 돈 더 얹어 넣은 거 만큼
DDR4 보다 그렇게 빠르지는 않습니다
가성비로 따지면 DDR4 이구요
4K 영상 편집, '버벅', 회사 용도 라 하시면,
시간 돈 능률과 직결되는 거라서
웬만하면 안정적이고 탄탄한 부품들로 가세요
저같으면, 그냥 안전빵인
기본 시금치 삼성램 DDR4 16 x 2 = 32기가
SSD NVMe 는 이미 안전성이 검증된 하이닉스 P31 (1TB)
시피유는 12700 아니면 12700K
'F'없는 시피유로 가겠습니다
영상편집때 버벅이는걸 그나마 줄여주는게
'F'없는 시피유 퀵싱크 기능 입니다
4K 영상 편집, '버벅'쪽에 신경 쓰이시면
시피유 12700'F'는 바꾸세요
메인보드 에즈락꺼 비추 입니다
가성비도 없는게 가격만 비싸요
무엇보다 지금 고르신 그 모델은 12700버전이
제 성능을 내는데 받쳐 주지를 못합니다
다시 말하면, 그 마더보드로 12700 쓴다 한들
결국에는 12400짜리 성능 밖에 못 내요~~
좀 더 좋은 마더보드로 가세요
12세대 보드로 12700 영상편집4K 용도면
상급 보드로 가야 합니다,
괜히 상급 보드가 존재 하는 게 아닙니다.
DDR5가격이 DDR4보다 아직도 많이 비쌉니다.
회사에서 감당할 정도가 되시면 DDR5 가면 좋겠지만,
숫자가 커보여서 상대적으로 빠르게 현혹? 될 뿐이지~
DDR5 성능향상은 비싼 돈 더 얹어 넣은 거 만큼
DDR4 보다 그렇게 빠르지는 않습니다
가성비로 따지면 DDR4 이구요
4K 영상 편집, '버벅', 회사 용도 라 하시면,
시간 돈 능률과 직결되는 거라서
웬만하면 안정적이고 탄탄한 부품들로 가세요
저같으면, 그냥 안전빵인
기본 시금치 삼성램 DDR4 16 x 2 = 32기가
SSD NVMe 는 이미 안전성이 검증된 하이닉스 P31 (1TB)
시피유는 12700 아니면 12700K
'F'없는 시피유로 가겠습니다
영상편집때 버벅이는걸 그나마 줄여주는게
'F'없는 시피유 퀵싱크 기능 입니다
4K 영상 편집, '버벅'쪽에 신경 쓰이시면
시피유 12700'F'는 바꾸세요
메인보드 에즈락꺼 비추 입니다
가성비도 없는게 가격만 비싸요
무엇보다 지금 고르신 그 모델은 12700버전이
제 성능을 내는데 받쳐 주지를 못합니다
다시 말하면, 그 마더보드로 12700 쓴다 한들
결국에는 12400짜리 성능 밖에 못 내요~~
좀 더 좋은 마더보드로 가세요
12세대 보드로 12700 영상편집4K 용도면
상급 보드로 가야 합니다,
괜히 상급 보드가 존재 하는 게 아닙니다.
도마도님의 댓글의 댓글
컴퓨터에 관심 끊은지가 오래되서 찾아보니까 ddr5는 ddr4 가격 두배인데 체감은 별로 안크다고 해서 다시 바꿨구요
견적은 다나와에서 그냥 순위높고 리뷰많은거 보고 짠건데 외장그래픽 있어서 cpu는 일부러 f로 바꾼건데 체감이 많이되나여?
그리고 예산을 얼마나 지원해줄지 몰라서 좀 타이트하게 짠건데 보드 690은 너무비싸고 670으로 추천 부탁드릴게여
ssd는 잘 몰라서 그냥 삼성이 괜찮겠지 싶어서 넣는데 하이닉스 것도 좋아보이네요 참고하겠습니다
윗분 말씀처럼 파워도 올리고 쿨러도 사제로 다는게 좋을까요?
사실 지금은 fhd로만 작업해서 위 견적대로 충분하긴한데 이왕 바꾸는거 잘 말해서 4k 생각해서 제대로 맞추는 쪽으로 말할건데 될지 모르겠네요..
견적은 다나와에서 그냥 순위높고 리뷰많은거 보고 짠건데 외장그래픽 있어서 cpu는 일부러 f로 바꾼건데 체감이 많이되나여?
그리고 예산을 얼마나 지원해줄지 몰라서 좀 타이트하게 짠건데 보드 690은 너무비싸고 670으로 추천 부탁드릴게여
ssd는 잘 몰라서 그냥 삼성이 괜찮겠지 싶어서 넣는데 하이닉스 것도 좋아보이네요 참고하겠습니다
윗분 말씀처럼 파워도 올리고 쿨러도 사제로 다는게 좋을까요?
사실 지금은 fhd로만 작업해서 위 견적대로 충분하긴한데 이왕 바꾸는거 잘 말해서 4k 생각해서 제대로 맞추는 쪽으로 말할건데 될지 모르겠네요..
tommkr님의 댓글의 댓글
4k 영상 버벅대는거 체감해 보시면
F버전 선택하신 걸 땅을 치고 후회하실 겁니다
직장 컴돌이들이 이 사실을 알면,
님한테 별 좋은 소리 안나갈겁니다
P31 고장 오작동율이 타 모델 제품에 비해
정말 변태적으로 거의 없고 안정적으로 인정 받은 모델입니다
회사 용도 안정성 하면 저는 무조건 P31 갑니다
쿨러는 닥~ 대장급 사제 쿨러 쓰시구요
어쎄신3 아니면 RC1700 추천요
수냉 크라켄이 온도 잡는데는
최고 성능 추천 이지만 가격이 쎄고
아무래도 수냉 터지면 노답 이라서
공랭 대장급이 속 편하죠
추천 메인보드
ASUS TUF Gaming B660
ASUS PRIME Z690-P
ASUS TUF Gaming Z690-Plus
ASUS ROG Strix Z690-A
기가바이트 B660 AORUS ELITE
기가바이트 Z690 Gaming X
MSI PRO B660
MSI MAG Z690
MSI MEG Z690
위 추천 보드 들 중에서 믿을만한
조립업체가 이 보드들을
사후 A/S 철저히 감당해 준다면
그 조립 업체에 맡겨서 마무리 지세요
업무용 이라서 그래픽 카드는
별 신경 안 쓰시겠지만,
3050시리즈만 보지 마시고
2060시리즈 12기가 6기가
짜리도 살펴 보세요
2060 성능이 오히려 좀 더 좋구요
가격 차이는 아주 조금 납니다
만에 하나 2060 가격이 더 싸다면
성능이 더 좋은 2060 가시는 게 정답이구요
회사 지원 걱정해서
돈은 돈대로 쓰고,
이도 저도 아닌
어정쩡 한 컴성능 기종으로
마무리 된다면~
그 거보다 어정쩡 하고
계면적어 지는 경우도 없을 겁니다
확실하게 회사에 어필하세요
시간, 돈, 능률을 중요시 하는
회사 업무는 '컴퓨터 성능'이 좌지우지 합니다
=> 결국에는 컴성능이
회사 성과 와 순익 증가에
직결 된다고요 .. 파이팅요
F버전 선택하신 걸 땅을 치고 후회하실 겁니다
직장 컴돌이들이 이 사실을 알면,
님한테 별 좋은 소리 안나갈겁니다
P31 고장 오작동율이 타 모델 제품에 비해
정말 변태적으로 거의 없고 안정적으로 인정 받은 모델입니다
회사 용도 안정성 하면 저는 무조건 P31 갑니다
쿨러는 닥~ 대장급 사제 쿨러 쓰시구요
어쎄신3 아니면 RC1700 추천요
수냉 크라켄이 온도 잡는데는
최고 성능 추천 이지만 가격이 쎄고
아무래도 수냉 터지면 노답 이라서
공랭 대장급이 속 편하죠
추천 메인보드
ASUS TUF Gaming B660
ASUS PRIME Z690-P
ASUS TUF Gaming Z690-Plus
ASUS ROG Strix Z690-A
기가바이트 B660 AORUS ELITE
기가바이트 Z690 Gaming X
MSI PRO B660
MSI MAG Z690
MSI MEG Z690
위 추천 보드 들 중에서 믿을만한
조립업체가 이 보드들을
사후 A/S 철저히 감당해 준다면
그 조립 업체에 맡겨서 마무리 지세요
업무용 이라서 그래픽 카드는
별 신경 안 쓰시겠지만,
3050시리즈만 보지 마시고
2060시리즈 12기가 6기가
짜리도 살펴 보세요
2060 성능이 오히려 좀 더 좋구요
가격 차이는 아주 조금 납니다
만에 하나 2060 가격이 더 싸다면
성능이 더 좋은 2060 가시는 게 정답이구요
회사 지원 걱정해서
돈은 돈대로 쓰고,
이도 저도 아닌
어정쩡 한 컴성능 기종으로
마무리 된다면~
그 거보다 어정쩡 하고
계면적어 지는 경우도 없을 겁니다
확실하게 회사에 어필하세요
시간, 돈, 능률을 중요시 하는
회사 업무는 '컴퓨터 성능'이 좌지우지 합니다
=> 결국에는 컴성능이
회사 성과 와 순익 증가에
직결 된다고요 .. 파이팅요
쉬엄딩굴님의 댓글
3050 할거면 그냥 없는게 나을 거예요. 나중에 4xxx 시리즈를 추가하는게 더 좋습니다.
작업하는 것중에 대량의 3D 이펙트 넣는 게 아니라면 그래픽 카드 가격으로 메모리를 대량(64~128)으로 늘리는게 SSD 엑세스 타임 조차도 줄이게 되므로 작업 속도는 훨씬 빠릅니다.
프리미어에서 각 기능 가속에서 정확히 뭐가 어떤 가속을 해주는지 확인을 하고 스펙을 맞추는게 중요합니다.
특히 [인코딩]과 [디코딩]은 Intel® Quick Sync 만 지원하므로 내장 그래픽 없는 인텔 모델(F 붙는 모델) 및 AMD 라인은 영상 편집의 가장 소요시간 오래 걸리는 핵심 기능을 포기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냥 자체 CPU 클럭만으로 처리하는 수준이 된다는 것이지요.
외장 그래픽 카드는 프리미어의 하드웨어 인코딩과 디코딩 가속에 관여하지 않습니다. 재생시 [렌더링]에만 관여합니다.
https://helpx.adobe.com/kr/x-productkb/multi/gpu-acceleration-and-hardware-encoding.html
다른 영상 툴을 쓴다면 인텔 내장 그래픽의 Intel® Quick Sync 기능 보다는 그냥 단순 클럭과 멀티코어 빨이 우선합니다만 프리미어 등 어도비 계열은 인텔 내장 그래픽의 가속 효과가 아직은 더 좋습니다.
애프터 이펙트의 3D 이펙트 효과가 전체 영상 타임라인중에서 비중이 많다면 편집 화면 탐색 중 외장 그래픽의 가속이 필요한 것도 사실입니다만, 언급 하셨듯이 가벼운 정도만 쓰신다면 사실상 외장 그래픽 없어도 총 작업에 시간차 거의 없을겁니다.
비슷한 작업을 외장 그래픽 달고 하나 떼고 하나 차이가 거의 없을 거라는 얘기죠.
오히려 최종 인코딩 시간은 [내장 그래픽 없는 모델 + 외장 그래픽] vs. [인텔 내장 그래픽 모델 옵션 활성화] 하면 후자가 동일 클럭대에서는 총 비용은 더 저렴하고 더 빠릅니다.
그래서 외장 그래픽 달 돈으로 그냥 메모리를 더 늘리라는 것이지요.
작업하는 것중에 대량의 3D 이펙트 넣는 게 아니라면 그래픽 카드 가격으로 메모리를 대량(64~128)으로 늘리는게 SSD 엑세스 타임 조차도 줄이게 되므로 작업 속도는 훨씬 빠릅니다.
프리미어에서 각 기능 가속에서 정확히 뭐가 어떤 가속을 해주는지 확인을 하고 스펙을 맞추는게 중요합니다.
특히 [인코딩]과 [디코딩]은 Intel® Quick Sync 만 지원하므로 내장 그래픽 없는 인텔 모델(F 붙는 모델) 및 AMD 라인은 영상 편집의 가장 소요시간 오래 걸리는 핵심 기능을 포기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냥 자체 CPU 클럭만으로 처리하는 수준이 된다는 것이지요.
외장 그래픽 카드는 프리미어의 하드웨어 인코딩과 디코딩 가속에 관여하지 않습니다. 재생시 [렌더링]에만 관여합니다.
https://helpx.adobe.com/kr/x-productkb/multi/gpu-acceleration-and-hardware-encoding.html
다른 영상 툴을 쓴다면 인텔 내장 그래픽의 Intel® Quick Sync 기능 보다는 그냥 단순 클럭과 멀티코어 빨이 우선합니다만 프리미어 등 어도비 계열은 인텔 내장 그래픽의 가속 효과가 아직은 더 좋습니다.
애프터 이펙트의 3D 이펙트 효과가 전체 영상 타임라인중에서 비중이 많다면 편집 화면 탐색 중 외장 그래픽의 가속이 필요한 것도 사실입니다만, 언급 하셨듯이 가벼운 정도만 쓰신다면 사실상 외장 그래픽 없어도 총 작업에 시간차 거의 없을겁니다.
비슷한 작업을 외장 그래픽 달고 하나 떼고 하나 차이가 거의 없을 거라는 얘기죠.
오히려 최종 인코딩 시간은 [내장 그래픽 없는 모델 + 외장 그래픽] vs. [인텔 내장 그래픽 모델 옵션 활성화] 하면 후자가 동일 클럭대에서는 총 비용은 더 저렴하고 더 빠릅니다.
그래서 외장 그래픽 달 돈으로 그냥 메모리를 더 늘리라는 것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