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분류
컴퓨터 견적. 도움 부탁드립니다.
컨텐츠 정보
- 6,929 조회
- 16 댓글
-
목록
본문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컴퓨터 구매를 진행하려고 하는데요.
최근 트렌드를 몰라서 질문을 하게 되었습니다.
마음같아서는 그래픽 카드 가격이 조금 안정화 되면 구매를 진행하고 싶었지만.
기다리다가 그냥 구매를 진행하려고 하는데요. 컴퓨터는 2대 구매할 예정이며.
컴퓨터 이용이야 다방면으로 사용하지만. 게임을 하게 되면 로스트아크, 롤 정도 이용할거 같습니다.
모니터에 경우 2019년도에 구매한 게이밍 모니터 MSI 옵틱스 AG32CQ 커브드 게이밍 144 WQHD,
2015년도에 구매한 LG전자 32MB25HM 모니터가 있습니다. 모니터에 경우 현재 문제는 없이 잘 이용은 되고 있는데.
컴퓨터를 새로 구매하는 김에 모니터 하나 정도는 더 구매해야 하나 고민이 되는 상황이라서요.
모니터 관련해서도 추천하시는 제품 같은게 있다면 조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모니터에 문제가 없는 상황인데. 그냥 사용해도 된다면 그냥 사용하라고 말씀해주세요.
현재 제가 생각하고 있는 본체 견적은 이렇게 생각은 하고 있는데요.
컴퓨터 본체에 한번 구매하면 오래 사용하게 되니 좋은 컴퓨터를 사고 싶다는 생각은 막연히 있는데. 작년이랑 비교해도 크게 차이가 나는 제품들이 없는거 같아서요.
가능하다면 150-170 선으로 구매를 진행하고 싶다고 생각하고 있구요.
고수님들의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 댓글 보고 추가 수정
조언을 듣고 견적을 살짝 수정해보았는데요.
이정도면 괜찮을까요?
관련자료
댓글 16
야미님의 댓글
우선 AMD 5600X로 하시고 오버를 안하신다면 굳이 메인보드를 그렇게 비싼 것을 사는 것보다 ASUS EX A320M-GAMING 이제품 6만원대 보드를 사는것이 가성비가 좋습니다.
어짜피 다음세대부터 cpu형태가 바뀌니 다음 amd시피유를 550보드에 사용할수도 없는것이라서요.
그리고 5600x를 사용하시면 기본적으로 공냉쿨러는 사제쿨러 하나 다셔야 합니다. pc쿨러 팔라딘400 정도면 됩니다.
그리고 저 같으면 ssd는 500기가로 낮추고 hdd 하나를 추가하여 데이터 저장용으로 사용할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ssd보다는 hdd가 안정성은 좋습니다.
그리고 980pro 까지야 필요하실까 싶습니다. 하이닉스 p31이나 970 evo plus 로 가셔도 충분합니다.
그리고 파워는 600와트면 3060ti 문제가 없는데 나중에 업그레이드 생각 있으시다면 700~750와트로 가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런데 하시는 게임을 봤을때 업그레이드는 안하실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케이스는 제가 써보니 뚜껑이 경첩이 있어 방문처럼 열리는게 편합니다. 뚜껑이 강화유리다보니 케이스 열때 조심스럽기도 하고 좀 무겁기도 하고 귀찮더라고요.
아이구주 VENTI C40이나 C60, DAVEN KAISER AIR, 3RSYS L600 같은 제품이요.
어짜피 다음세대부터 cpu형태가 바뀌니 다음 amd시피유를 550보드에 사용할수도 없는것이라서요.
그리고 5600x를 사용하시면 기본적으로 공냉쿨러는 사제쿨러 하나 다셔야 합니다. pc쿨러 팔라딘400 정도면 됩니다.
그리고 저 같으면 ssd는 500기가로 낮추고 hdd 하나를 추가하여 데이터 저장용으로 사용할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ssd보다는 hdd가 안정성은 좋습니다.
그리고 980pro 까지야 필요하실까 싶습니다. 하이닉스 p31이나 970 evo plus 로 가셔도 충분합니다.
그리고 파워는 600와트면 3060ti 문제가 없는데 나중에 업그레이드 생각 있으시다면 700~750와트로 가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런데 하시는 게임을 봤을때 업그레이드는 안하실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케이스는 제가 써보니 뚜껑이 경첩이 있어 방문처럼 열리는게 편합니다. 뚜껑이 강화유리다보니 케이스 열때 조심스럽기도 하고 좀 무겁기도 하고 귀찮더라고요.
아이구주 VENTI C40이나 C60, DAVEN KAISER AIR, 3RSYS L600 같은 제품이요.
신화님의 댓글의 댓글
안녕하세요. 친절하게 답변을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현재 컴퓨터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오버를 사용할 예정은 없을거 같은데요.
5600X말고 가성비를 생각하면 5600으로 변경을 해야 할까요?
보드 같은 경우에는 너무 가성비로 가는건 좀 그럴까 해서. 중간(?) 정도로 바꿔보았습니다.
5600이나, 5600x에 경우는 사제쿨러가 필요한거 같아서 팔라딘과 TM중 고민하다가 TM으로 선택하였는데요.
파워에 경우 추후 업그레이드 유무는 잘 모르겠지만. 3060ti가 최대 225w라 600w로도 상관 없을거 같지만 일단 권장이 650w라 혹시 몰라 700w로 수정해보았습니다.
위에 견적을 다시 한번 수정해서 올렸는데 확인하시고 조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ssd는 요즘 용양이 잘나와서 그냥 큰거 하나 쓰는게 빠르고 좋지 않을까요? ssd랑 하드 그래도 구분하는게 좋을까요?
혹시 하드는 추천하시는 제품이 있다면 알고 싶습니다.
5600X말고 가성비를 생각하면 5600으로 변경을 해야 할까요?
보드 같은 경우에는 너무 가성비로 가는건 좀 그럴까 해서. 중간(?) 정도로 바꿔보았습니다.
5600이나, 5600x에 경우는 사제쿨러가 필요한거 같아서 팔라딘과 TM중 고민하다가 TM으로 선택하였는데요.
파워에 경우 추후 업그레이드 유무는 잘 모르겠지만. 3060ti가 최대 225w라 600w로도 상관 없을거 같지만 일단 권장이 650w라 혹시 몰라 700w로 수정해보았습니다.
위에 견적을 다시 한번 수정해서 올렸는데 확인하시고 조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ssd는 요즘 용양이 잘나와서 그냥 큰거 하나 쓰는게 빠르고 좋지 않을까요? ssd랑 하드 그래도 구분하는게 좋을까요?
혹시 하드는 추천하시는 제품이 있다면 알고 싶습니다.
야미님의 댓글의 댓글
5600과 5600x의 가격차이가 1~2만원정도만 차이난다면 5600x로 가는것이 맞습니다.
그런데 견적내신곳에서는 상당히 가격차이가 많이 나는것으로 되어있네요.
제가 알기로는 1만원 정도의 차이라서..
쿨러는 3RSYS도 좋은 선택지가 될 것 같습니다.
메인보드는 고르신 제품 좋은제품 맞습니다.^^
너무 저가가 꺼려지신다면 고급제품으로 가시는 것도 괜찮습니다.
참고로 예산을 좀더 줄이신다면 ASUS PRIME B550M-A 제품도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파워는 3060TI면 600와트로도 충분하긴 합니다.
SSD의 경우 말씀하신것처럼 요즘엔 용량대비 가격도 많이 저렴해져서
모든것을 SSD로 사용하는것도 좋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체감을 크게 느끼실지는 모르겠습니다.
SSD 512기가로 C드라이브를 구성하고 D드라이브를 HDD로 구성해서 모든 프로그램들은 C드라이브에 설치하고
D드라이브에는 바탕화면이나 문서,사진,비디오,다운로드 폴더등이 저장되게 한다면
나중에 윈도우가 이상해서 다시 설치시 D드라이브에 자료들이 다 남아있으니 편하게 설치 가능합니다.
마지막으로 데이터복구에서도 SSD보다는 HDD가 더 복구확률이 높습니다.
그런데 견적내신곳에서는 상당히 가격차이가 많이 나는것으로 되어있네요.
제가 알기로는 1만원 정도의 차이라서..
쿨러는 3RSYS도 좋은 선택지가 될 것 같습니다.
메인보드는 고르신 제품 좋은제품 맞습니다.^^
너무 저가가 꺼려지신다면 고급제품으로 가시는 것도 괜찮습니다.
참고로 예산을 좀더 줄이신다면 ASUS PRIME B550M-A 제품도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파워는 3060TI면 600와트로도 충분하긴 합니다.
SSD의 경우 말씀하신것처럼 요즘엔 용량대비 가격도 많이 저렴해져서
모든것을 SSD로 사용하는것도 좋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체감을 크게 느끼실지는 모르겠습니다.
SSD 512기가로 C드라이브를 구성하고 D드라이브를 HDD로 구성해서 모든 프로그램들은 C드라이브에 설치하고
D드라이브에는 바탕화면이나 문서,사진,비디오,다운로드 폴더등이 저장되게 한다면
나중에 윈도우가 이상해서 다시 설치시 D드라이브에 자료들이 다 남아있으니 편하게 설치 가능합니다.
마지막으로 데이터복구에서도 SSD보다는 HDD가 더 복구확률이 높습니다.
신화님의 댓글의 댓글
세심한 답변 너무 감사합니다. 제가 사이트에서 확인했을때는 가격차이가 조금 있는데 다른 사이트도 확인을 해봐야겠네요.
그리고 제가 문의할때 모니터에 관해서 문의를 같이 했었는데요. 기존에 모니터중 2015년 모니터에 경우 기존 컴퓨터를 바로 버리거나 하지는 않을거 같아서.
모니터 한개정도는 추가 구매를 진행하려고 하는데요.
3060으로 그래픽 구매하게되면 qhd 프레임이 잘 안나올 수도 있는건 아는데. 집에서 32인치를 계속 사용하다 보니. 32인 모니터를 선호하는 편이라..
게임할때 이용할걸 생각하면 144~165쯤으로 구매해야 하는게 맞을 수는 있지만. 어차피 FPS종류의 게임을 하는건 아니라.. 적당 타협라인으로
27인치 fhd 144나 165, 혹은 32인치 중에 추천해주실 수는 있을까요? 로스트아크 같은 게임도 하니 와이드도 조심스럽게 생각은 해보지만 아직 실제 사용은 안해본 종류에 모니터라.
현재는 27인치나 32인치 모니터 고려하고 있습니다. 와이드는 아니더라도 2종류(27,32인치) 모니터 둘다 추천해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제가 문의할때 모니터에 관해서 문의를 같이 했었는데요. 기존에 모니터중 2015년 모니터에 경우 기존 컴퓨터를 바로 버리거나 하지는 않을거 같아서.
모니터 한개정도는 추가 구매를 진행하려고 하는데요.
3060으로 그래픽 구매하게되면 qhd 프레임이 잘 안나올 수도 있는건 아는데. 집에서 32인치를 계속 사용하다 보니. 32인 모니터를 선호하는 편이라..
게임할때 이용할걸 생각하면 144~165쯤으로 구매해야 하는게 맞을 수는 있지만. 어차피 FPS종류의 게임을 하는건 아니라.. 적당 타협라인으로
27인치 fhd 144나 165, 혹은 32인치 중에 추천해주실 수는 있을까요? 로스트아크 같은 게임도 하니 와이드도 조심스럽게 생각은 해보지만 아직 실제 사용은 안해본 종류에 모니터라.
현재는 27인치나 32인치 모니터 고려하고 있습니다. 와이드는 아니더라도 2종류(27,32인치) 모니터 둘다 추천해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쉬엄딩굴님의 댓글
스펙은 뭘 구매하시건 향후 수년간 남아돕니다.
말이 보급형(?) 6코어 12스레드이지 실제로 얼마전까지만해도 거의 서버급 멀티 CPU 수준(4스레드 2개)의 스레드 성능입니다.
10여년 넘어가는 듀얼 코어 녀석들도 저장장치만 SSD로 바꿔주니 반응성에서는 OA와 웹서핑용으로는 현역입니다.
게임 역시 PC용이 더 초고사양 히트작 게임이 나올 확률도 적은 편입니다. 대부분 수익이 보장되는(랜덤 뽑기 현질...) 모바일 게임쪽으로 넘어가고 있으니까요.
의외로 대충 넘어가는 부분이 입력에 관련된 마우스와 키보드 그리고 출력에 관련된 모니터와 스피커, 헤드셋인데 이게 실제로는 새 PC 뽑았다는 체감 차이는 많이 나게 됩니다.
케이스도 강화유리에 번쩍번쩍 현란한 LED에 팬 여러 개 달린 케이스들이 추세입니다만, 반대로 예전처럼 단순하고 저소음을 선호하게 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http://prod.danawa.com/info/?pcode=15849731
http://prod.danawa.com/info/?pcode=3412899
말이 보급형(?) 6코어 12스레드이지 실제로 얼마전까지만해도 거의 서버급 멀티 CPU 수준(4스레드 2개)의 스레드 성능입니다.
10여년 넘어가는 듀얼 코어 녀석들도 저장장치만 SSD로 바꿔주니 반응성에서는 OA와 웹서핑용으로는 현역입니다.
게임 역시 PC용이 더 초고사양 히트작 게임이 나올 확률도 적은 편입니다. 대부분 수익이 보장되는(랜덤 뽑기 현질...) 모바일 게임쪽으로 넘어가고 있으니까요.
의외로 대충 넘어가는 부분이 입력에 관련된 마우스와 키보드 그리고 출력에 관련된 모니터와 스피커, 헤드셋인데 이게 실제로는 새 PC 뽑았다는 체감 차이는 많이 나게 됩니다.
케이스도 강화유리에 번쩍번쩍 현란한 LED에 팬 여러 개 달린 케이스들이 추세입니다만, 반대로 예전처럼 단순하고 저소음을 선호하게 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http://prod.danawa.com/info/?pcode=15849731
http://prod.danawa.com/info/?pcode=3412899
정호띠12님의 댓글

CPU는 12400이 5600X보다 좋습니다. 사진에는 12600이지만.. 다만 보드까지 감안하면 가격대가 5600X보다는 높습니다. 그것도 H610까지 보드를 내리면 비슷해집니다. 취향대로 고르시면 될 듯 합니다.
SSD는 980 Pro의 OEM버전으로 동일한 제품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만 정품은 아니라는 점과 대부분의 수입사에서 1년 내지 2년 A/S는 보장한다는 점, 초기불량이나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고장 이외에는 수명안에 잘 망가지지 않는다는 점.
케이스는 저는 앵간하면 7~8만원 이상 쓰셨으면 합니다. 취향차이지만 5만원대 이하랑은 퀄리티가 달라집니다.
아니면 이런 조립 PC를 구매하는 것도 좋은 선택인 듯 합니다. 부품이 상당수가 동일하네요. 질문자분께서 올리신 견적보다 좋은 성능과 더 저렴한 가격이네요.
http://prod.danawa.com/info/?pcode=16153742&cate=11236849
정호띠12님의 댓글의 댓글
현재 MSI QHD 32인치 모니터를 사용하신다면 굳이 바꿀 필요 없어 보이는데요? 아니면 듀얼 모니터를 생각하고 계신건가요?
같은 제조사의 MAG321QR 제품도 인기가 있어보이네요. 모니터는 제가 직접 사용해본건 LG의 27gl850이랑 32gk850f라 다른 회사들 건 잘 몰라서 추천드리기 어렵지만 주연테크, 한성컴퓨터 등은 왠만하면 피하는 편입니다.
모니터에서 해상도를 업그레이드 할때 제일 큰 체감이 오고 그다음이 주사율(60에서 144,144에서 240), 패널의 종류, 색재현율 및 피크 밝기, G싱크 호환 인증의 여부 정도로 생각하는데 이런거 고려했을 때 그냥 쓰셔도 될 듯 합니다.
같은 제조사의 MAG321QR 제품도 인기가 있어보이네요. 모니터는 제가 직접 사용해본건 LG의 27gl850이랑 32gk850f라 다른 회사들 건 잘 몰라서 추천드리기 어렵지만 주연테크, 한성컴퓨터 등은 왠만하면 피하는 편입니다.
모니터에서 해상도를 업그레이드 할때 제일 큰 체감이 오고 그다음이 주사율(60에서 144,144에서 240), 패널의 종류, 색재현율 및 피크 밝기, G싱크 호환 인증의 여부 정도로 생각하는데 이런거 고려했을 때 그냥 쓰셔도 될 듯 합니다.
정호띠12님의 댓글의 댓글
맞추려는 사양으로 원하시는 게임을 하는데는 qhd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 같아요. 다른 게임을 하더라도 해상도 낮추거나 옵션을 낮추면 당연히 가능한 부분이고요. 물론 QHD 모니터에서 FHD 해상도로 낮추면 화질과 색감등의 저하가 있지만요.
가성비를 주로 생각한 모니터라면 사양만 보고 추천드릴 수 있어서 직접 사용하면서 어떤 느낌인지는 장담을 못하겠습니다.
1. MAG321QR 게이밍 165 WQHD HDR400 무결점
2. AGON 322QX 165 QHD 프리싱크 HDR 게이밍 무결점
3. 삼성전자 오디세이 G5 S32AG520
이정도고 마지막 3번은 특가 중이니까 고려해보세요.
https://ohou.se/productions/1169818/selling
가성비를 주로 생각한 모니터라면 사양만 보고 추천드릴 수 있어서 직접 사용하면서 어떤 느낌인지는 장담을 못하겠습니다.
1. MAG321QR 게이밍 165 WQHD HDR400 무결점
2. AGON 322QX 165 QHD 프리싱크 HDR 게이밍 무결점
3. 삼성전자 오디세이 G5 S32AG520
이정도고 마지막 3번은 특가 중이니까 고려해보세요.
https://ohou.se/productions/1169818/sel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