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분류
컴퓨터. 모니터 사양 좀 봐 주세요~
컨텐츠 정보
- 6,153 조회
- 26 댓글
-
목록
본문
관련자료
댓글 26
Exia님의 댓글
모니터는 LG것은 32QN650 (ssg 삼성카드 371070), 좀 더 가성비 좋은 모델은 HP X32 (11번가 앱 38만원) 추천드려요
사진으로 올려주신 컴퓨터는
RAM, 메인보드, 저장장치, 파워, 케이스, 쿨러 부분이 추천하지 않는 제품들이라서 교체해봤습니다.
http://shop.danawa.com/short/nWVxFB
건축학과 학부 수준이시면 3070~3070ti 정도면 충분하실겁니다
예산이 초과되시면 적당한 3070으로 교체해도 됩니다, 예산이 넉넉하게 남으신다면 3080을 넣어도 상관은 없습니다.
사진으로 올려주신 컴퓨터는
RAM, 메인보드, 저장장치, 파워, 케이스, 쿨러 부분이 추천하지 않는 제품들이라서 교체해봤습니다.
http://shop.danawa.com/short/nWVxFB
건축학과 학부 수준이시면 3070~3070ti 정도면 충분하실겁니다
예산이 초과되시면 적당한 3070으로 교체해도 됩니다, 예산이 넉넉하게 남으신다면 3080을 넣어도 상관은 없습니다.
Exia님의 댓글의 댓글
http://shop.danawa.com/short/fwVxFB 모니터 미포함 250이면 이대로 사시면 될 듯 합니다.
http://shop.danawa.com/short/txVxFB 모니터 포함 250입니다.
모니터 포함 250은 사용하시다가 용량 부족하시면 SSD 추가해주시면 됩니다.
http://shop.danawa.com/short/txVxFB 모니터 포함 250입니다.
모니터 포함 250은 사용하시다가 용량 부족하시면 SSD 추가해주시면 됩니다.
tommkr님의 댓글
제 평생 LG티비나 모니터 휴대폰 화면이 다른 제조사 보다 제 눈에 피로도도 덜하고 좋은 기억이 있어서 엘지 추천 드립니다. 그러나..
컴퓨터 사양 몇군데에 제 상식상으로는 납득 하지 못할 이상한 점이 몇군데 있네요
램 메모리 정확한 '모델명' 표기를 안했다는점. 그래픽카드도 그렇고,
가장 비싼 그래픽 카드 부분은 발열 성능 A/S 수입판매사 모두 다 따져서 신중히 고려 해서 선택해야 하는데 제조사 혼용 이라니...
마더보드도 에즈락 보다는 그냥 아수스 쓰겠습니다..
저라면 NVMe M.2 저장장치는 비싸더라도 1순위 SK 하이닉스 P31 또는 삼숭 말고는 안쓸것 같네요.. NVMe 고장나서 윈도우 뻑나가면, 초보자님들은 고장복구하기 힘들어요.
결정적인건, 시피유 쿨러 인데요
공랭 대장급 써도 모자랄 12700KF에
힛파이프4개짜리 일반 공랭이라니~~
견적내준 업체한테는 미안 한 얘기지만
저는 이런 견적이라면 안 살것 같습니다
구입한 후 문제 생기면 각 부품별 A/S가 정확히 어떻게 이루어지고 진행되는지 면밀히 알아보시고 결정하세요~
그래야 나중에 골치 아픈일이 적어집니다
컴퓨터 사양 몇군데에 제 상식상으로는 납득 하지 못할 이상한 점이 몇군데 있네요
램 메모리 정확한 '모델명' 표기를 안했다는점. 그래픽카드도 그렇고,
가장 비싼 그래픽 카드 부분은 발열 성능 A/S 수입판매사 모두 다 따져서 신중히 고려 해서 선택해야 하는데 제조사 혼용 이라니...
마더보드도 에즈락 보다는 그냥 아수스 쓰겠습니다..
저라면 NVMe M.2 저장장치는 비싸더라도 1순위 SK 하이닉스 P31 또는 삼숭 말고는 안쓸것 같네요.. NVMe 고장나서 윈도우 뻑나가면, 초보자님들은 고장복구하기 힘들어요.
결정적인건, 시피유 쿨러 인데요
공랭 대장급 써도 모자랄 12700KF에
힛파이프4개짜리 일반 공랭이라니~~
견적내준 업체한테는 미안 한 얘기지만
저는 이런 견적이라면 안 살것 같습니다
구입한 후 문제 생기면 각 부품별 A/S가 정확히 어떻게 이루어지고 진행되는지 면밀히 알아보시고 결정하세요~
그래야 나중에 골치 아픈일이 적어집니다
tommkr님의 댓글의 댓글
사양 추천 드리기 전에
보다 현실적이고 상세한 사용 용도와 부가 설명이 필요 합니다
설계및 도면 작업에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정확히 뭔가요?
오토 캐드 솔리드웍스 인가요?
설계 도면 작업 규모는 공부 용 인가요?
빠른 작업 시간을 단축 시켜서 돈과 직결되는 방대한 직업 직장 업무용 인가요?
설계작업용 이외에 병행해서 사용하는 동시다발 프로그램이 있나요?
설계작업용 이외에 컴퓨터 게임 / 주식 / 등등 다른 용도로도 사용 하는 경우 도 있나요?
구입 한 후 문제 발생 시에 A/S 부분도 무시 못하는데요
구입 업체 선정 할 때 중요 한 '변수' 가 됩니다
주로 활동 하시는 지역이 어디 인가요?
서울? 경기 수원? 지방 어디인가요?
보다 현실적이고 상세한 사용 용도와 부가 설명이 필요 합니다
설계및 도면 작업에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정확히 뭔가요?
오토 캐드 솔리드웍스 인가요?
설계 도면 작업 규모는 공부 용 인가요?
빠른 작업 시간을 단축 시켜서 돈과 직결되는 방대한 직업 직장 업무용 인가요?
설계작업용 이외에 병행해서 사용하는 동시다발 프로그램이 있나요?
설계작업용 이외에 컴퓨터 게임 / 주식 / 등등 다른 용도로도 사용 하는 경우 도 있나요?
구입 한 후 문제 발생 시에 A/S 부분도 무시 못하는데요
구입 업체 선정 할 때 중요 한 '변수' 가 됩니다
주로 활동 하시는 지역이 어디 인가요?
서울? 경기 수원? 지방 어디인가요?
쉬엄딩굴님의 댓글
전문적인 직업용으로 할 경우 그래픽 카드도 게임용 그래픽 카드가 아니라 설계용인 쿼드로 계열을 씁니다.
오토캐드만 해도 인증 하드웨어의 기준이 쿼드로입니다.
https://knowledge.autodesk.com/certified-graphics-hardware
3D쪽도 마찬가지고요.
https://download.autodesk.com/us/support/3dsMax/HW_Cert/2022/3dsmax_2022_gfx_results_18_october_2021.pdf
본인이 뭘 할지 뭘 다룰지 정확히 파악해야 작업 효율도 올라가고 돈과 시간낭비도 줄어듭니다. 그게 결국 실무에서 경쟁력이 되기도 합니다.
3D 설계,3D 모델링 프로그램 아무거나 쓰면 버려야됩니다(Feat.3D 설계 장점,BIM)
https://youtu.be/8cOplU4lyQI
오토캐드만 해도 인증 하드웨어의 기준이 쿼드로입니다.
https://knowledge.autodesk.com/certified-graphics-hardware
3D쪽도 마찬가지고요.
https://download.autodesk.com/us/support/3dsMax/HW_Cert/2022/3dsmax_2022_gfx_results_18_october_2021.pdf
본인이 뭘 할지 뭘 다룰지 정확히 파악해야 작업 효율도 올라가고 돈과 시간낭비도 줄어듭니다. 그게 결국 실무에서 경쟁력이 되기도 합니다.
3D 설계,3D 모델링 프로그램 아무거나 쓰면 버려야됩니다(Feat.3D 설계 장점,BIM)
https://youtu.be/8cOplU4lyQI
쉬엄딩굴님의 댓글의 댓글
일단 따님분께서 뭘 쓰게 될지 정확히 파악하고 선배나 교수님, 업계 실무자들의 조언을 듣는 것이 좋습니다.
주로 2D만 하게 된다면 그냥 인텔 내장그래픽 CPU 모델 내지 그냥 노트북으로도 커버되고도 남습니다.
일반적으로 용도라면 Exia 님 말씀처럼 지포스계열로 가도 되고요.
그런데 솔직히 지포스도 채굴 때문에 엄밀하게 가성비가 좋다고 말하기는 애매한 시즌이라, 주로 2D 위주라면 외장그래픽 비용을 절약할 수도 있고 이건 나중에라도 지포스건 쿼드로건 추가를 할 수가 있는 부분이므로
먼저 본인 실제 하는 주 작업을 명확히 파악하는게 좋겠지요.
솔직히 K 붙는 오버클럭 모델과(실제 쿨러를 듣보잡 저성능을 넣어 놓고 오버클럭 설정하면서 쓸 것인가도 의문...) 내장 그래픽 없는 F 모델 일부러 골라서 지포스 조합해서 넣고 악성재고 조합해서 넣고 간만에 컴맹 호갱님 돈 뜯어보자는 견적으로만 보입니다.
2D 작업이 주류라면 내장 그래픽 있는 일반적인 모델로도 남아돕니다. 심지어 i7까지 갈 것도 아니고요.
http://prod.danawa.com/info/?pcode=16140809
http://prod.danawa.com/info/?pcode=16101431
워크스테이션 노트북에 쿼드로 RTX 그래픽카드 쓰는 이유
https://www.youtube.com/watch?v=8TFqbQIflow
주로 2D만 하게 된다면 그냥 인텔 내장그래픽 CPU 모델 내지 그냥 노트북으로도 커버되고도 남습니다.
일반적으로 용도라면 Exia 님 말씀처럼 지포스계열로 가도 되고요.
그런데 솔직히 지포스도 채굴 때문에 엄밀하게 가성비가 좋다고 말하기는 애매한 시즌이라, 주로 2D 위주라면 외장그래픽 비용을 절약할 수도 있고 이건 나중에라도 지포스건 쿼드로건 추가를 할 수가 있는 부분이므로
먼저 본인 실제 하는 주 작업을 명확히 파악하는게 좋겠지요.
솔직히 K 붙는 오버클럭 모델과(실제 쿨러를 듣보잡 저성능을 넣어 놓고 오버클럭 설정하면서 쓸 것인가도 의문...) 내장 그래픽 없는 F 모델 일부러 골라서 지포스 조합해서 넣고 악성재고 조합해서 넣고 간만에 컴맹 호갱님 돈 뜯어보자는 견적으로만 보입니다.
2D 작업이 주류라면 내장 그래픽 있는 일반적인 모델로도 남아돕니다. 심지어 i7까지 갈 것도 아니고요.
http://prod.danawa.com/info/?pcode=16140809
http://prod.danawa.com/info/?pcode=16101431
워크스테이션 노트북에 쿼드로 RTX 그래픽카드 쓰는 이유
https://www.youtube.com/watch?v=8TFqbQIflow
야미님의 댓글
메인보드와 ssd 그리고 cpu쿨러가 별로 입니다.
메인보드가 Z690 하급 모델인데.. Z690하급을 사느니 B660 상급을 사는것을 추천드립니다.
ASUS TUF Gaming B660M-PLUS D4
위의 모델을 추천드립니다.
전원부도 더 좋고 전원부 방열판도 좋으며 다른 부가적인 사항도 더 좋습니다.
(전원부가 좋아야 CPU의 제대로 된 성능을 끌어낼 수 있습니다.)
SSD는 정말 듣지도 못한 브랜드가 골라져 있는데..
SK하이닉스 Gold P31 M.2 NVMe
Western Digital WD Blue SN570
삼성전자 970 EVO Plus M.2 NVMe
위 3가지 중에서 고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것은 성능의 차이라기 보다는 추후 A/S문제라던가 불량률 등의 차이 입니다.)
CPU쿨러는 선택된 쿨러가지고 발열 잡지 못합니다.;;
공냉 쿨러중에서 팬도 1개이고 저가형에 속하는;;
해당쿨러는 i5-12500 이하에서 쓸만한 쿨러 같습니다.
DEEPCOOL ASSASSIN 3
NOCTUA NH-D15
위 2가지 정도는 써야 합니다.
되도록 녹투아 제품으로 쓰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메인보드가 Z690 하급 모델인데.. Z690하급을 사느니 B660 상급을 사는것을 추천드립니다.
ASUS TUF Gaming B660M-PLUS D4
위의 모델을 추천드립니다.
전원부도 더 좋고 전원부 방열판도 좋으며 다른 부가적인 사항도 더 좋습니다.
(전원부가 좋아야 CPU의 제대로 된 성능을 끌어낼 수 있습니다.)
SSD는 정말 듣지도 못한 브랜드가 골라져 있는데..
SK하이닉스 Gold P31 M.2 NVMe
Western Digital WD Blue SN570
삼성전자 970 EVO Plus M.2 NVMe
위 3가지 중에서 고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것은 성능의 차이라기 보다는 추후 A/S문제라던가 불량률 등의 차이 입니다.)
CPU쿨러는 선택된 쿨러가지고 발열 잡지 못합니다.;;
공냉 쿨러중에서 팬도 1개이고 저가형에 속하는;;
해당쿨러는 i5-12500 이하에서 쓸만한 쿨러 같습니다.
DEEPCOOL ASSASSIN 3
NOCTUA NH-D15
위 2가지 정도는 써야 합니다.
되도록 녹투아 제품으로 쓰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