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를 허용해주세요.
[ 자바스크립트 활성화 방법 ]
from Mohon Aktifkan Javascript!
좋은글 분류

마음의 병을 치료하다

컨텐츠 정보

본문

마음의 병을 치료하다

8474c5435dbe84c9f2104b73aabd92b0_1692632302_6214.jpg

대한민국 정부에서 지정한 국보 제319호로
구암 허준 선생이 완성한 조선 시대의 의학서인 동의보감은
'
내경편', '외형편', '잡병편', '탕액편',
'
침구편', '목차편'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2009
7, 유네스코에 의해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된
세계의 유산 중의 하나입니다.

동의보감에는 세 가지 원칙이 있습니다.
첫째, 병의 치료 이전에 마음의 다스림을 원칙으로 할 것.
둘째, 꼭 필요한 이론과 처방을 정리해 간단히 할 것.
셋째, 조선 땅에서 나는 약초를 사용하고,
한글로 정리해 많은 백성이 쉽게 알 수 있도록 할 것.

실제로 637종의 약재는 한자명과 한글명을
함께 기록하여 백성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처방전의 활용도를 높이고, 병들기 전에
몸과 마음을 다스려야 한다는 예방 중심의
새로운 의학 체계를 확립했습니다.

조선의 신의로 추앙받는 구암 허준 선생이,
반평생을 바치고 2년의 유배 생활 중 집필하여
1610
년에 완성된 동의보감은, 다른 곳이 아닌
바로 우리들의 체질과 건강을 위해 만들어진
의학 체계를 담고 있습니다.

===============================================

'
동의보감'은 의학서로의 가치보다
더 훌륭한 것이 담겨 있습니다.

조선 백성들의 체질에 맞지 않는 중국의 치료법이나,
한자로 써진 약재의 이름에 힘겨워하는
백성들을 위하는 마음입니다.

'
의술은 인술'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누군가의 병을 고치는 일은 결국 어진 마음으로
행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 오늘의 명언
지금의 의원은 오직 사람의 병만 다스리고 마음은 고칠 줄 모르니
이것은 근본을 버리고 말단(맨 끄트머리)만 쫒는 격이다.
– 동의보감 내경편 –

 

출처:따뜻한 하루


관련자료



댓글 4 / 1 페이지
전체 695 / 13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