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를 허용해주세요.
[ 자바스크립트 활성화 방법 ]
from Mohon Aktifkan Javascript!
좋은글 분류

버큰헤드 정신

컨텐츠 정보

본문

버큰헤드 정신

d414274cfd9ed5a14b5866529a992cdb_1687370617_2114.jpg

대영제국의 위세가 하늘을 찌르던 1852,
영국 해군의 1,400톤급 수송선이었던
버큰헤드호(Birkenhead)
군인과 민간인 634명을 태우고 아프리카 남단을
항해 중이었습니다.

케이프타운에서 65km 떨어진 바다를 지나던
버큰헤드호는 2 26일 새벽 2, 그만 암초와
충돌하고 말았습니다.

암초에 부딪힌 배는 한쪽으로 기울기 시작하더니
급기야 차가운 바닷물이 들이닥치는
절체절명의 위기가 닥쳤습니다.

완전히 허리가 끊긴 배에는 고작 3척의
구명정이 있었는데, 1 척당 60, 전부 합해
180
명밖에 탈 수 없었습니다.

배 위에 탄 병사와 가족들의 공포는
말로 다 표현하기 어려운 지경이었습니다.
그때, 그 배에 타고 있던 영국군
74
보병연대의 지휘관인 알렉산더 세튼 중령은
병사들을 갑판에 집결시켜 놓고
큰 소리로 외쳤습니다.

"
차렷!"

갑판 위에 병사들은 부동자세를 유지하였습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명령을 내렸습니다.

"
제군들은 들어라.
지금까지 가족들은 우리를 위해 희생해 왔다.
이제 우리가 그들을 위해 희생할 때가 되었다.
어린이와 노약자부터 보트에 태워라!"

병사들은 횃불을 밝히고, 아이들과 노약자들을
3
척의 구명정으로 옮겨 태웠습니다.

마지막 구명보트에 사람을 태운 뒤
버큰헤드호는 점점 더 바닷속으로 들어갔습니다.
하지만, 버큰헤드호의 세튼 지휘관과 병사들은
차가운 물이 목까지 차오르는 순간에도
흐트러지지 않은 모습으로 명예롭게
죽음을 맞이했습니다.

잠시 후 그들은 순식간에 물속으로 사라졌습니다.
판자에 매달려 가까스로 목숨을 건진 한 병사는
당시의 상황을 이렇게 전했습니다.

"
중령님의 지시에 불평 한마디 없었습니다.
그 명령이 곧 죽음이라는 걸 알면서도.."

바로 이때부터 '노약자와 어린이부터'라는
전통이 생겼다고 합니다.

==============================================

버큰헤드호의 병사들...
이 시대의 우리들에게 많은 깨달음과
울림을 줍니다.

우리는 언제나 남보다 나를 우선시하며
살아가고 있었는지 잠시나마
반성을 해 봅니다.


# 오늘의 명언
사랑의 첫 번째 계명은 먼저 희생할 수 있어야 한다.
자기희생은 사랑의 고귀한 표현이기 때문이다.
– 발타자르 그라시안 –

 

출처:따뜻한 하루


관련자료



댓글 5 / 1 페이지
전체 10,326 / 153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