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를 허용해주세요.
[ 자바스크립트 활성화 방법 ]
from Mohon Aktifkan Javascript!
좋은글 분류

진실로 중용을 지켜라

컨텐츠 정보

본문

진실로 중용을 지켜라

04c3c3e468ab5fdef9d4956070ac5770_1683485351_7932.jpg

중국 고대 성군이라 불리는 요임금과 순임금이 다스리던
'
요순시대'는 태평성세의 대명사로 불립니다.
사람들은 생활이 풍요롭고 여유로워서 '격양가'
부르던 세상이었습니다.

요임금과 순임금에 대해서 '논어'
마지막 장에 이렇게 나옵니다.

바로 '윤집기중(允執其中)'이란 말입니다.
요임금이 순임금한테 왕위를 물려주면서 남긴 말로
'
하늘의 뜻이 그대에게 있으니 공평한 원칙인
중도를 굳게 지켜라!'는 의미입니다.

'
윤집기중'이라는 단어는 원래 공자가 정리한
중국 최초의 역사서 '상서'(尙書)
나옵니다.

인심(人心)은 유위(惟危)하고
도심(道心)은 유미(惟微)하니
유정유일(惟精惟一)하고
윤집궐중(允執厥中)하리라.

사람의 마음이라는 것은
변덕이 심하고 대단히 위험한 데 비해
도심은 아주 미미하고 성취가 어려우니
오로지 마음을 정성스럽고 한결같이 하여
진실로 중용의 도를 붙잡으라는
공자의 당부입니다.

이 철학은 요임금과 순임금은 물론
주공과 공자에 이르기까지 유가의 최고 성현들이
하나같이 강조한 것으로 늘 가슴에 새겨
잊지 말아야 할 덕목임을 가르칩니다.

===============================================

중국의 고대 철학자 주희의 말에 따르면
'
'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모자람이 없는 것이며
'
'은 평범하고 일상적인 것입니다.

, 중용이란 언젠가 지도자가 되면,
어느 날 무슨 일이 있을 때
필요한 덕목이 아닙니다.

내가 있는 현재의 자리에서
가장 적절한 것을 찾으려 노력하는
삶의 태도이자 덕목입니다.


# 오늘의 명언
한 사람에게서 모든 덕을 구하지 말라.
– 공자 –

 

출처:따뜻한 하루


관련자료



댓글 4 / 1 페이지

livinglegend님의 댓글

중용. 어느 한쪽으로도 치우치지 않음...이 중(中)이고 평범하기가 용(庸)이라는데 정말 실행하기 어려운 덕목이지요!
왜냐하면 사람들은 누구나 자기만의 실익을 결국 바라게 되고 이것이 불균형을 초래하게 되니까요..
그래서 그 대신 '공평'이라는 것을 늘 생각하려고 애씁니다!
전체 10,326 / 174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