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만 알아도 살 수 있습니다" 자동차 전문가가 알려주는 자동차 급발진 상황 대처방법 5단계
컨텐츠 정보
- 7,030 조회
- 6 댓글
-
목록
본문
운전을 하면서 일어날 수 있는 무서운 사고 중 하나가 바로 급발진 사고인데요. 실제로 급발진 상황이 벌어진다면 초보 운전자나 베테랑 운전자 할 것 없이 패닉에 빠질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img.jpg](https://blog.kakaocdn.net/dn/cazHIA/btryYm9zl3h/X0EJp88akNnS9dG6ACqdE1/img.jpg)
물론 당황할 수밖에 없지만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상황이 벌어진 것과 아는 상태로 맞이하는 것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그럼 오늘은 여러 자동차 전문가 유튜버들이 알려주는 자동차 급발진 상활 대처방법 5단계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1단계 : 브레이크를 한번에 꾹 밟아준다
급발진이 발생하면 무의식적으로 브레이크부터 밟을텐데요. 이때 브레이크가 잘 듣지 않는다고 여러번 밟으면 절대로 안됩니다. 급발진 시에는 브레이크 부스터에 확실한 진공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진공 배력 기능이 상실됩니다.
![img.png](https://blog.kakaocdn.net/dn/pFlVx/btryY8DfrHP/gMC6vR4xxgJgAyK3Jih3T1/img.png)
이때 브레이크가 평소보다 단단해지면서 여러번 밟으면 제동력이 급격하게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이때는 브레이크를 있는 힘껏 한 번 꾹 밟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2단계 : 기어를 중립으로 바꿔준다
급발진 사고는 엔진의 이상작동으로 발생하는 것인데요. 이때 엔진에서 전달되는 힘을 중간에 끊어주면 엔진만 공회전 할 뿐 동력이 바퀴까지 전달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기어를 빠르게 중립(N)으로 바꿔주는 것이 좋습니다.
![img.png](https://blog.kakaocdn.net/dn/b15X4Q/btryV3vUmKz/xEGAWxc8DyPQ8DqAlh2iQk/img.png)
여기서 기어 위치를 P(주차)위치에 놓게될 경우 핸들이 잠겨서 조향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더 위험해 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어를 중립(N)단에 위치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3단계 : 주차브레이크 활용하기
요즘 자동차들은 전자식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어를 N단에 두어도 계속 가속이 될 수 있는데요. 이때 주차브레이크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img.jpg](https://blog.kakaocdn.net/dn/bcKQuI/btryYnAEG4T/CfGzoc9h4rrh5jFieGd6kK/img.jpg)
![img.jpg](https://blog.kakaocdn.net/dn/crZ0Dg/btryRSbiTuj/J7k1JZ6fbCuo81rq1mE660/img.jpg)
레버식 주차 브레이크의 경우 한번에 끝까지 잡아당기면 타이어가 잠기면서 자동차가 회전하거나 전복될 수 있기 때문에 두 세번에 나눠서 작동시키고 페달식의 경우도 서서히 밟아주시면 됩니다. 버튼식의 경우 주차 버튼을 길게 당기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시면 됩니다.
4단계 : ACC까지 시동 끄기
그래도 멈추지 않을 경우에는 시동을 꺼야하는데요. 이때 키를 끝까지 돌려 시동을 끄게되면 핸들이 잠길 수 있기 때문에 ACC 위치까지만 돌려서 엔진을 정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img.png](https://blog.kakaocdn.net/dn/bv961P/btryP2Spo9R/z9OrKk7XwzKrCKgKOObSk1/img.png)
![img.png](https://blog.kakaocdn.net/dn/DTBol/btrySNHAx3k/kk9hyqLs1tqh3TmCmKrk30/img.png)
만일 버튼식의 경우 시동 버튼을 3초이상 누르고 있으면 됩니다.
5단계 : 가속되기 전 장애물 이용하기
만일 위의 4단계가 자신이 없으시다면 가속이 일어나기 전 장애물을 이용하여 멈추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 장애물을 이용한 대처 사례가 있으니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전문가들의 의견도 급발진이 일어난 상태에서 계속 주행이 될 경우 겉잡을 수 없는 가속이 생기기 때문에 비슷한 크기에 자동차에 충돌하거나 도로의 가장자리로 차를 옮겨 전면이 아닌 측면으로 여러 번 가드레일 등 장애물에 충돌시켜 감속시키는 것을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