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 사이에 생긴 마음의 상처는 말 때문인 경우가 많다.
컨텐츠 정보
- 7,569 조회
- 8 댓글
-
목록
본문
![img.png](https://blog.kakaocdn.net/dn/cFEMGv/btrAjoSV0FZ/Hdcp4vhCteSK1wjDsac1v1/img.png)
남편이 아내에게 “당신이 뭘 알아. 집에서 편하게 지내니까 배가 불러서 그런 거야”라고 던진 말은 칼이 되어 가슴을 후벼 판다.
남편은 아내가 자신을 무시하는 말을 못 견딘다. “내가 밖에서 얼마나 힘들게 일하고 돈 버는데 그렇게 밖에 말 못 해!”라며 버럭 화를 낸다.
이런 말을 주고받다 보면 부부인데 남보다 못하다는 실망으로 이어진다.
행복한 부부 관계에 대해 연구한 존 가트먼 박사는 부부간 대화 시작 후 3분만 관찰하면 계속 같이 살지 헤어지게 될지 바로 알 수 있다고 한다.
이혼 할 부부에게는 특징적인 대화 패턴이 있다. 비난과 멸시다.
![img.jpg](https://blog.kakaocdn.net/dn/brE2ON/btrAj2ohJnX/h8LRWa4pH5XJGFEIik5nwk/img.jpg)
폭언이나 막말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언뜻 들으면 아닌 것 같아도 숨겨진 의도는 배우자에대한 비난과 멸시인 말들이 더 위험하다.
“당신이 뭘 알아.” 이건 자신은 옳고 상대는 잘못되었다는 비난의 말이다. “그렇게 하자고 한 건 당신이잖아.” 하고 책임을 떠넘기는 말도 배우자를 향한 비난이다.
상대를 가르치려 드는 것은 멸시에 해당한다. “내가 이렇게 하라고 가르쳐줬잖아”라는 표현에는 “당신은 뭘 몰라. 내가 시키는 대로 해”라는 속뜻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배우자의 성격을 평가하고 비판하는 것도 금기다.
“당신은 너무 예민해. 성격 고쳐야 돼.” 이런 말을 자주 하고도 부부 관계가 멀쩡히 유지되기를 기대해서는 안 된다.
부부 상담을 하다 보면 “어떻게 좋은 말만 하고 살아요. 잔소리라도 해야지 그 사람이 바뀌지 않겠어요?”라는 이야기를 종종 듣는다.
![img.jpg](https://blog.kakaocdn.net/dn/ZCq6D/btrAj13YERZ/FL0YKYOh3121YjaOxAHhZ0/img.jpg)
배우자를 말로 통제하고 변화시키려는 시도는 거의 다 실패한다. 아무리 옳은 말이라도 배우자에게 강요하면 반발심만 일어난다. 배우자에게 술 좀 끊으라고 잔소리할수록 술에 대한 욕구가 더 커지는 심리적 역반응이 생긴다. 부부 사이는 점점 멀어진다.
![img.jpg](https://blog.kakaocdn.net/dn/bbEbcE/btrAdYIcyIS/0ZypMKnTGNnF5ctNaVjpck/img.jpg)
사람은 잘 바뀌지 않는다. 태어나서 수십 년에 걸쳐 형성된 행동 패턴이 배우자의 잔소리로 변할 리 없다. 사람의 성격은 개인의 의지보다 부모에게 물려받은 유전자에 의해 형성되는 요소가 우리 예상보다 훨씬 크다.
심리적으로 건강한 부부는 자기 자신과 배우자의 불완전함을 견뎌낼 줄 안다. 배우자를 더 나은 사람으로 변화시키겠다며 돌직구를 날리는 게 아니라 부족하면 부족한 대로 아쉬운 대로 배우자의 있는 그대로를 품고 갈 수 있어야 결혼 생활이 유지된다.
![img.jpg](https://blog.kakaocdn.net/dn/bu9Fqf/btrAh8bKypd/3ISiYaDNIkmFAd301d1Xkk/img.jpg)
겉으로 드러나지 않아도 모든 부부는 제각각의 불행과 슬픔을 안고 산다.
남편과 아내가 같이 살다 보면 필연적으로 위기가 찾아온다. 아내는 괜찮은데 남편에게 고통이 닥쳐오기도 하고 시간이 흐르면서 반대 상황도 생긴다. 이럴 때 부부 사이를 지켜주는 건 따뜻한 말 한마디다. 몇 년 전에 공중파에서 방영되었던 드라마에서 친정아버지가 결혼한 딸에게 했던 말이 잊히지 않는다.
“네 탓이 아니다. 생길 일들이니까 생긴 거다. 누구 잘못인지 따져봐야 힘만 든다. 얽히고설키는 게 어떻게 한 사람의 잘못으로 되겠느냐. 세상에서 제일 불행한 사람이 누군지 아느냐. 넘어졌을 때 일으켜 세워줄 사람이 아무도 없는 사람이다. 그래서 결혼하고 부부가 되는 거다. 넘어졌을 때 일으켜 세워줄 사람 만들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