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를 허용해주세요.
[ 자바스크립트 활성화 방법 ]
from Mohon Aktifkan Javascript!
좋은글 분류

철폐 속의 나의 삶

컨텐츠 정보

본문


철폐 속의 나의 삶

f8d696c777de454252b47e2b1dbd18ba_1630265497_6278.jpg



1952
7, 미국 텍사스주에 사는
6
살 소년 '폴 알렉산더'는 갑자기 어지럽고

목이 아픈 증세를 보였습니다
.

가족들은 감기나 독감 정도로 생각했지만
,
의사는 뜻밖의 진단을 내렸습니다
.
소아마비 바이러스였습니다
.

1952
년 미국 전역은 6만 건이 넘는 소아마비가

발병이 된 최악의 해였는데, ''도 그중

하나였던 것입니다
.

처음에는 몸살과 고열 증세로 시작되었지만

얼마 후 걷고 음식을 삼키고 숨을 쉬는 능력까지

모두 잃게 된 ''은 기관절개술을 한 다음
,
밀폐된 탱크인 인공 철제 폐에 넣어

치료하게 했습니다
.

그렇게 18개월이나 지났지만

오히려 그의 신체는 몸 아래로 거의 마비가 되었고

철제 폐 밖에서는 숨을 쉴 수 없었습니다
.

의사는 ''이 회복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
그리고 부모에게는 ''을 떠나보낼 마음의 준비를 하라며

인공호흡기인 철제 폐와 함께 집으로 돌려보냈습니다
.
더욱이 전기로 움직이는 호흡기가 정전이라도 된다면

그 결과는 상상하기 끔찍할 정도였습니다
.

하지만 ''의 인생은 그때부터가 시작이었습니다
.
'
' 10대 때부터 재활 치료에 매진하여

철제 통 밖에서 몇 시간을 보낼 수 있을 정도로

상태가 좋아졌습니다
.

낮에는 학교에 들러 수업을 듣고
,
밤에는 통 안으로 들어가는 생활을 이어갔습니다
.
그렇게 ''은 고등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했습니다
.
대학에서는 학사학위를 2개나 받았고
,
변호사 시험에도 합격하여 잠시나마 변호사로도

활동했습니다
.

물론 ''의 폐는 완치된 것이 아니었기에

'
'은 통을 멀리 떠날 수는 없었습니다
.
나이가 들고 신체 능력이 저하되면서

밖에서 지내기도 힘들어졌습니다
.

결국 ''은 낮이든 밤이든 대부분 시간을

이제 통 안에서 보내게 됐습니다
.

노인이 된 ''은 통 안에서도 도전을 이어갔는데

입으로 붓을 물고 그림을 그렸고, 타자를 치며

글을 썼습니다
.

최근에는 8년 동안의 집필 끝에

자신의 인생 이야기가 담긴 회고록

'
철폐 속의 나의 삶'도 출간했습니다
.

소아마비가 발병한 6세부터 74세가 된 현재까지

무려 68년을 거대한 인공호흡기인 철제 폐에

의지한 채 생존하고 있는 그의 위대한 삶은

실로 경이로울 뿐입니다
.

==============================================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절대 포기하지 않은 위대한 삶을 보여준

'
폴 알렉산더
'.

그에게 불평과 고난은 변명이었으며
,
그에게 고통은 그를 더 강하게 만드는

통로가 되어주었습니다
.


#
오늘의 명언

난 죽고 싶지 않았어요. 사는 게 고통스러웠지만
,
저는 절대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
-
폴 알렉산더 -

 

출처:따뜻한 하루


관련자료



댓글 3 / 1 페이지
전체 695 / 7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