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를 허용해주세요.
[ 자바스크립트 활성화 방법 ]
from Mohon Aktifkan Javascript!

Win10 20H2(19042.746) 2in1(Pro,Home) 64비트 후기. 몇가지 오류와 상당한 버벅임....

컨텐츠 정보

본문

39ab8848f1e2c84affcdc6874bd6f936_1612859281_3316.PNG



레이쯔님 덕분에 잘 이용하고 있기에

늘 항상 감사할 따름입니다.

처음으로 후기를 올려보는데, 몇가지 증상이 있어 이런 정보는 공유하는게 좋을것 같아 남겨봅니다.


새로운 데스크탑 구성을 함에 따라 오랫만에 최신버전을 설치하였는데,

사용한지 며칠 지난 지금도 윈도우창 들이나 엑셀 등등 꽤나 버벅임이 느껴집니다.

이전에 사용하던 버전은 기억이 잘 안나지만, 대략 2020년 6~8월 사이 버전이었거든요.

이때는 괜찮았고 빠릿했는데 좀 이상합니다.


캡쳐는 못했지만 더군다나 익스플로러 이용한 다운로드 폴더 지정시 바탕화면 지정이 안되고 오류가 떴었고,

설치 후 초반에는 2번정도 셀프로 재부팅이 되는 증상도 있었네요.


여전한 꽤나 버벅임을 지켜보는 중인데

계속 이대로라면 불편함이 생각보다 많아 작년 버전으로 설치해야하나 고민이 될 정도 입니다.


모든 하드웨어 드라이브는 최신버전으로 설치 한 상태이고,

메인보드는 베타버전 이용중입니다.


어떤부분이 문제인건지 원인을 확실히 알수는 없지만

윈도우 자체 에러가 뜨는 부분들이 있는걸로 봐서는 윈도우도 불안정한 부분이 있는것 같습니다.


Administrator 권한을 처음에 잘못 설정한건가 싶기도 한데,

늘 하던대로 했기에 변수는 없을거라...


최신 버전 설치하신 분들 의견 궁금합니다.

덧글 부탁드립니다! 



관련자료



댓글 44

몰라18님의 댓글

Win10 20H2(19042.746) 2in1(Pro,Home) 레미쯔님 자료중 PRO, HOME 다 설치해봤는데 문제 없이 잘 됩니다. 익스에서 다운 잘 되고요. Office도 렉 없이 잘 됩니다. 물론 요사이트 최신 버전으로 설치 했습니다. 드라이버는 3DP로 다시 돌려서 설치 했구요.

고마우신분님의 댓글의 댓글

이상하네요... 아무래도 다시 설치를 해보던지 해야겠는데
제가 SSD / Nvme 두군데 각각 두번 설치를 해서 보는데
두개 모두 버벅임이 꽤 느껴지거든요 흠....

몰라18님의 댓글의 댓글

하드80G에다  레가시 방식으로 설치 했어요.
12년된 노트북에다가 메모리 업그래이드 하고 설치 했는데 부팅 40초 걸리는데 윈도우 화면이 뜨면 그냥 저냥 쓸만한데 아직 문제는 없었어요
데스크탑에 LTSC도 사용중인데 문제없이 잘 됩니다.

마루하님님의 댓글

cpu를 보니 라이젠 4세대 cpu네요. 이를 지원하는 칩셋이면 윈10에서 자동설치되는 드라이버 말고, 메인보드사나 AMD에서 제공하는 최신 칩셋드라이버와 윈10 지원드라이버를 깔아야 할 것 같은데요. 이를 한번 시도해보시실 권해드립니다.

마루하님님의 댓글의 댓글

설치하셨는데도 버벅거린다면, LTSC버전을 설치하여 칩셋드라이버와 윈10지원 드라이버를 설치하신후 체크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 LTSC버전 설치전 반드시 위 2개의 드라이버와 와이파이  드라이버는 미리 다운받아 USB에 저장하신후 설치하셔야 합니다. LTSC버전에서는 설치시에 와이파이가 안잡힐수도 있습니다)

vvEROSvv님의 댓글

bios 정식버전으로 가신 후 ... 확인 해보시는것도 좋을듯 보이네요..  이벤트도 확인하시고 등등 새로운 시스템이니 ...구성 등 ...많은 요인들이 있으니 확인하시어...... ^^잘 해결 되심 좋겠네요...

ljss520님의 댓글

저는 저번주였나 라이젠3 3200G (램8G SSD 120G HDD500G)보급형 컴에 이버전 깔았는데..
느리다는 생각은 안들었습니다. 인텔과 달리.. 라이젠은 메인보드CD 드라이버 꼭 깔아야 합니다.
그리고 시모스 UEFI부팅, 사타AHCI, 패스트부팅 키시면 빠릅니다.
그리고 바탕화면 아이콘 관련 에러는 스타트백 지우면 해결됩니다.
요즘 스타트백 이게 바탕화면 아이콘 실행에러 많이 걸립니다.
저는 이럴때는 클래식쉘 프로그램 씁니다.

고마우신분님의 댓글의 댓글

3세대는 이제 바이오스 및 드라이버가 모두 안정상태일겁니다
3600에서 5800x로 넘어온거거든요

클래식쉘 이란것 한번 찾아보겠습니다.

하다아님의 댓글

동감입니다. 19년말에 설치한 것은 윈도우7보다 훨씬 부드럽고 가벼웠는데,
최신 버전에서 어플실행시에 딜레이가 생기는 등, 조금씩 버벅대는 느낌이 듭니다.
컴이 돈달라는 소리인갑다라고만 생각했는데,
컴의 문제만은 아닌 것 같군요.

soundmaster님의 댓글

저도 드라이버 문제라고 생각됩니다.
라이젠이 가격대비 성능은 뛰어난데...
드라이버를 좀 가리는 것 같습니다.
특히, 제 Acer A515-44 노트북의 경우는 제조사에서 배포하는 것 말고
AMD배포 드라이버를 깔거나 윈도우 업데이트로 깔리면, 부팅이 엄청 느려지더군요.
전체 656 / 1 페이지